|
미국 샌프란시스코시 헤이스밸리에 ‘프록시 프로젝트’로 입주한 맥주가게 비어가르텐은 오후 5~6시면 자리가 없을 만큼 시민들과 관광객들로 가득 찬다.
|
[한겨레 창간25돌] 도시의 미래를 보다
미 샌프란시스코 헤이스밸리 ‘프록시 프로젝트’
주거용지 안팔리자 한시 활용
컨테이너를 예술적으로 개조
옷가게·커피숍 등 열자 사람 북적
자투리땅엔 꽃심어 시민공원으로
우범지역서 주민 휴식공간 탈바꿈
시설 재활용 ‘도시재생 모델’ 돼
미국 샌프란시스코시 헤이스밸리에 있는 선박용 컨테이너 앞에 지난 1일 오후 6시께(현지시각) 사람들이 30m 넘게 줄을 섰다. 맥주점 ‘비어가르텐’에서 생맥주를 마시려는 이들이었다. 컨테이너 앞 탁자 200여석 가운데 빈자리를 찾기 어려웠다. 가게를 운영하는 에런 흄(40)은 “수~일요일 문을 여는데, 조금만 더우면 정신이 없을 만큼 손님이 많다”고 했다.
300평 남짓한 터에는 3층으로 쌓은 컨테이너 옷가게 ‘이서’ 주변에 커피숍, 아이스크림가게 등이 있고, 그 옆 250여평 터에는 관광자전거 대여업체, 맥주점 등이 있다.
3층 컨테이너 주변엔 6㎡짜리 가판대 5곳, 22㎡ 가판대 4곳이 석달마다 돌아가며 설치된다. 가판대는 한쪽을 유리로 만들어 전시장 같은 구실을 하는데, 지역의 디자이너, 예술가, 장인들이 끼를 발휘하는 활동공간이다. 관광자전거 대여사업을 하는 팀 매클로플린(36)은 “샌프란시스코에서 최고 인기를 누린다. 석달 기한으로 들어왔는데 연장해 벌써 1년이 돼간다. 생계에 큰 도움이 된다”며 웃었다.
샌프란시스코 시내에 2011년 1월 등장한 이른바 ‘프록시(proxy·임시대행) 프로젝트’ 현장이다. ‘떴다방’처럼 반짝 출현하는 ‘팝업 스토어’에 착안해 도심의 빈 공간을 일정 기간 활성화하려는 시도다.
1989년 지진으로 헤이스밸리를 관통하는 고가고속도로가 무너지자, 샌프란시스코시는 2002년 이를 철거하고 지구를 매각해 주거용지로 쓸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2008년 경기 침체로 일부 지구의 매각 연기가 불가피해지자 달리 활용할 방안을 모색했다. 헤이스밸리 2개 블록은 고가도로 일부 구간을 허물고 만든 주차장 터였다. 건축회사 ‘엔벌로프A+D’에 활용 방안을 구했더니, 건축회사 쪽은 프록시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했다.
|
‘프록시 프로젝트’ 이끈 버넘 대표 “정부·민간·지역 협력해 도시에 활력 심어”
|
더글러스 버넘 대표.
|
도심 공동화를 되레 기회로 살려 “프록시 프로젝트는 시 정부와 민간부문, 지역사회가 공동으로 협력할 때 쇠락해가는 도시공간에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샌프란시스코시 헤이스밸리에 있던 한적한 주차장을 멋들어진 복합문화공간으로 거듭나도록 한 건축회사 엔벌로프A+D의 더글러스 버넘(사진) 대표는, 프록시 프로젝트의 특질을 이렇게 간추렸다. 4월30일(현지시각) 캘리포니아주 버클리의 회사에서 인터뷰하던 날에도 그는 지금은 가동하지 않는 인근의 석탄발전소를 다녀온 길이라고 했다. “2008년 시청에서 미활용 시유지의 활용 제안을 해왔죠. 지역 특성에 비춰 헤이스밸리를 상업 및 예술문화 공간으로 꾸밀 수 있을 것 같았어요.” 시 정부는 예산을 전혀 투자하지 않았다. 상설 건축물이 들어설 때까지만 점유한다는 점에서 ‘프록시’(임시대행)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 프로젝트를 ‘유연한 도시계획’이라고 정의하고, ‘콘텐츠를 만드는 공장’으로 바꾸겠다는 구상을 짰다. “콘텐츠는 컴퓨터, 모바일 기기 등을 통해 빠르게 변화하잖아요. 이런 속도에 맞춘 짧은 주기의 순환으로 이벤트, 소매점 공간, 예술과 음식 등 여러 콘텐츠로 지속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선박용 컨테이너를 고른 것도 한시적으로 쓴 뒤 다른 곳에서 재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콘텐츠의 지속가능한 변화를 염두에 둔 선택이었다.
|
미국 샌프란시스코시 헤이스밸리에 ‘프록시 프로젝트’로 들어선 커피숍에는 하루 평균 200~300여명의 시민과 관광객들이 찾는다.
|
|
미국 샌프란시스코시 헤이스밸리에 적용한 ‘프록시 프로젝트’의 상징물 선박용 컨테이너 구조물. 3층으로 쌓고 유리로 진열장을 만들어 현대적 감각을 풍긴다.
|
|
미국 샌프란시스코시가 도로 주차면을 음식점이나 카페에 내주는 ‘파클릿’은 다른 도시도 벤치마킹하려고 관심을 보인다.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