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추징미납 1672억, 그냥 눈감을 건가요
시민과 함께하는 ‘크라우드소싱’ 기획
‘전재산 29만원’ 떵떵거리는 삶미납금 추징시효 올 10월 끝나
독자 제보받아 숨긴 재산 추적 33돌을 맞은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이 군부독재 청산 이후 최대의 논란 속에 치러졌다. 북한군이 개입했다는 역사 왜곡이 있었고,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여부로 기념행사도 분열됐다. 내란죄로 무기징역 판결을 받았던 가해자는 아직도 반성하지 않는다. 전두환 전 대통령은 추징금 1672억원도 내지 않고 있다. 하지만 검찰과 국세청은 조용하다. 올해 10월까지 추가로 은닉 재산을 찾아내 추징하지 못하면 시효가 만료된다. 국가가 정의의 이름으로 행할 수 있는 조처는 법률적으로 더는 존재하지 않게 된다. <한겨레>가 전 전 대통령의 숨은 재산 탐사에 나서는 이유다. 과거의 취재와 다른 점이 있다. 창간 25돌을 맞은 <한겨레>는 독자와 시민들께 ‘말 거는 한겨레’가 되려 한다. 그 첫번째 기획으로 독자들의 협업과 참여를 통해 전두환 전 대통령의 숨은 재산을 찾아내는 ‘크라우드 소싱’(Crowd Sourcing)을 제안한다. 크라우드 소싱은 언론사 등이 홀로 추적하기 어려운 방대한 원자료를 웹에 공개하면, 독자들이 이를 마음껏 내려받아 분석하고, 추가 내용을 제보하며, 취재 방향에 의견을 제시하는 방식이다. 이를 종합해 다시 언론사가 탐사에 나선다. 인터넷상의 집단 협업이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영국 일간지 <가디언>이 여러차례 실험한 기법이다. 이를 위해 ‘잊지 말자 전두환 사전 1.0’을 공개한다(▷ 전두환 전 대통령의 숨은 재산을 찾습니다). 엑셀 파일 형태로, 누구나 내려받을 수 있다. 이 파일에는 ‘전두환 비자금 조성 및 관리 조력자 명단’, ‘전두환 친인척 명단’, ‘전두환 일가 재산목록’, ‘전두환 골프장 리스트’ 등 네 종류의 정보가 들어 있다. 버전 1.0이다. 이와 관련한 추가 정보를 알고 있는 독자·시민들은 전자우편(dokko@hani.co.kr)이나 트위터(@dokko518)로 제보해 주실 것을 부탁드린다. 취재 방향에 대한 조언도 좋다. <한겨레>의 ‘잊지 말자 전두환 사전’은 버전 5.5까지 업데이트할 예정이다. 오는 10월까지, ‘말 거는 한겨레’의 협업은 계속된다. 또한 앞으로 3차례에 걸쳐 ‘전두환 전 대통령과 그의 시대’가 남긴 숙제를 조망한다. <한겨레>는 여전히 살아 있는 숙제를 독자와 함께 풀고자 한다. 2013년, 정의는 아직 배고프다. 고나무 김선식 기자 dokko@hani.co.kr ‘29만원 전두환’의 은닉 재산을 찾아라 [한겨레 캐스트 #101]

▷ 재산 일부라도 찾으면 시효 3년연장…검찰 의지에 달려
▷ 검찰의 전씨 비자금 비밀보고서 ‘한겨레’가 정보공개 청구합니다
▷ 전두환처럼…6억3천만원 뭉개는 장세동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