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각) 오전 미국 뉴욕 유엔 총회장에서 제72차 유엔 총회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나는 북한이 스스로 평화의 길을 선택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우리 정부와 국제사회는 북한이 유엔 헌장의 의무와 약속을 정면으로 위반하고 있음에도 북핵 문제를 평화적인 방법으로 해결하기 위해 온 힘을 다해 가능한 모든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했다. 연합뉴스
|
|
안광복(중동고 철학교사·철학박사)
|
[추천 도서]
|
[추천 도서]
|
[키워드로 보는 사설] 대북 인도적 지원 지난 21일, 정부는 세계식량계획(WFP), 유니세프 등의 국제기구가 펼치는 대북 인도적 지원 사업에 800만달러(약 90억원)을 공여하기로 결정했다. 다만, 구체적인 시기와 규모는 남북관계 상황 등을 고려해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지원 내용은 아동·임산부 대상 영양 강화 사업에 450만달러, 아동·임산부 대상 백신과 필수의약품, 영양실조 치료제 사업에 350만달러를 지원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현재 우리 정부가 독자적으로 대북 지원을 하는 경우는 없다. 이번 논의도 세계식량계획과 유니세프가 정부에 공여를 요청하면서 시작되었다. 우리 정부의 지원은 국제기구를 통해 이루어지며, 현금이 아닌 현물로 지급된다. 북한의 탁아시설과 소아병동에 단백질·미네랄·비타민 등을 혼합한 슈퍼시리얼과 슈퍼비스킷을 제공하며, 1살 미만 아동에게 결핵, 비(B)형 간염, 홍역, 소아마비 등의 백신을 접종한다. 설사와 호흡기 감염병 등 아동에게 필수적인 의약품도 지원한다. 이 모두는 현금이 아닌 100% 현물 지원이므로 군사 등의 목적으로 전용될 우려가 없다는 것이 정부 쪽 주장이다. 유엔 통계에 따르면, 9월 기준으로 미국(100만달러), 러시아(300만달러), 스위스(700만달러), 스웨덴(150만달러), 프랑스(49만달러) 등 여러 나라가 국제기구를 통해 대북지원을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정부는 인도적 차원의 대북지원과 북핵 문제 사이에는 연결고리가 없다고 말한다. 그러나 <자유 아시아 방송>(RFA) 등에 따르면, 북한에 지원하는 영양과자 등이 인민군의 비상식량으로 둔갑하고 지원 물자가 일부 특권층의 외화벌이 사업에 이용된다는 주장도 있다.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