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낫으로 참깨를 베어 든 전명순씨의 얼굴엔 오랜 세월을 견뎌낸 농부의 여유로움이 물씬 배어난다.
|
[나는 농부다] 전북 변산 전명순 농부
그이가 낫으로 참깨를 베는 몸놀림은 물 흐르듯 자연스럽다. 빠르지도 느리지도 않고 한결같은 속도로 베어놓을 자리를 오간다. 참깨밭 옆 두 다랑이 논. 드문드문 벼가 비어 있다. 모내고 나서 빠진 자리를 메꾸지 않고 남겨둔 아들의 일 매무새를 두고 그이는 “농사꾼 맞는가 몰러” 혼잣소리를 한다. 빨간 고추가 널려 있는 비닐하우스. “이슬 내리기 전에 밀봉해둬야 곰팡이가 안 펴요. 흔들어봐서 고추씨 소리가 들리면 바싹 잘 마른 거요. 제때 거둬들이지 않으면 거무튀튀해지지.” 조근조근 짚는 대목 켜켜이 그이가 살아온 시간의 지혜가 물씬하다. 전명순(58), 여성치고는 훤칠하게 큰 키와 몸집, 볕에 그을린 티도 안 나는 피부를 보면 평생을 농사지어온 사람 맞나 싶다. 하지만 그는 어릴 적부터 이날까지 농사일을 놓은 적이 없는 원조 농부다. 거뜨미 마을(전북 임실군 운암면). 섬진강으로 흘러드는 실개천 따라 통통배를 타고 40분은 가야 닿는 산골짜기. 구불구불한 재 2개 넘어 20리 길을 걸어 초등학교에 다녔다. “학교 오가며 으름이다 머루다 따먹다가 늦어서 벌 받기도 하고, 대보름이 낀 정월 한달 내내 굿을 노는 어른들 쫓아다니고….” 어릴 적 고향 추억이 눈에 삼삼하기만 하다. 첩첩산중 두메산골. 어슴푸레한 새벽이면 온 식구가 일어나 일하러 나갔다. 어리광 부리고 싶을 아홉살 가시나라도 봐주지 않았다. 이미 열댓살에 동네 품앗이 일을 다녔다. “징그럽게 잠이 쏟아지드만…. 싫고 좋고가 어딨어요. 그냥 삶이었죠.” 열일곱살에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언니와 집안 농사를 도맡았다. “지게를 지고 겨우내 땔나무하러 다니고. 일도 징하게 많았지라우.” 올망졸망한 세 남동생 뒷바라지하랴 자신을 돌볼 새가 없었다. “우리 집 농사는 여자들이 다 했제.” 지금 옆집에 모시고 사는 어머니(김점례·83)가 말을 거드신다. 스무살 무렵 언니가 시집가자 그 몫까지 떠맡게 됐다. 어머니에게는 차마 말을 꺼내지 못하고 집을 떠나 풀무농장에 들어가던 스물세살 때까지. 홀로 남은 어머니는 큰 일꾼이 떠났으니 얼마나 막막했을까. 그 얘기를 꺼내며 그는 와락 솟아오르는 눈물에 말문이 막힌다. 공부를 하고 싶었다. 농한기에 풀무농장 한달 코스 ‘단기대학’을 두어번 다니며 인문학 강의도 듣고, 책을 맛본 것으로는 감질났다. ‘성에 차게 공부 좀 해봤으면….’ 배움에 대한 욕구가 꿈틀거리곤 했다. 풀무농장에서 농사는 물론 살림살이를 고루 배우며 5년을 머물렀다. 3년차 되던 해, 거기 갓 들어온 남편 정경식(56)씨를 만나 결혼하고 2년 뒤에 그들만의 가정을 꾸려 독립했다. 그 공동체에서 마음의 자유를 얻기는 어려웠지만 “바르게 사는 게 뭔지, 바른 농사가 뭔지” 삶의 지표를 추려낼 수 있었다. 17살 때부터 집안농사 도맡다풀무농장 들어가 5년간 머물며
바른 삶, 바른 농사가 뭔지 깨우쳐
옳다고 해서 외곬 치닫는 건 경계
몸으로 감당 안될 땐 기계도 쓰고
농약도 화학비료도 남용이 문제
일도 하고 문화도 누리며 살았으면 1983년 겨울. 전북 변산으로 이사 가는 그들의 짐은 단출했다. 괭이·삽·호미 등 농기구, 씨앗, 소 한마리, 염소 한마리, 닭 세마리, 쌀 두가마니…. 달랑 이 살림 밑천으로 살아내야 했다. 남의 집, 남의 땅 빌려. 두살배기 아이를 등에 업고 온종일 일하기도 했다. 웬만한 농사일은 거뜬히 해내던 그였지만 한여름 뙤약볕에 비 오듯 하는 땀을 닦으며 속절없이 돋아나는 풀을 매는 일은 힘들었다. 비라도 내리면 푹푹 빠지다가 이내 딱딱하게 굳는 땅이라서 호미질을 도끼질하듯 해야 했다. 힘든 것은 고사하고 먹고살 길이 캄캄해 보여 ‘딱 한번만 농약을 치면 어떨까’ 싶은 생각이 굴뚝같을 때도 있었다. 그런 유혹을 이기고 서너해 지나서야 남들만큼 수확할 수 있었다. 10년쯤 지나서야 땅 2000평도 사고, 남부럽지 않은 양옥집도 지을 수 있었다. 2000~3000평 농사로 누구나 이렇게 살아낼 수 있을까? 사시사철 어느 한구석의 땅도 놀리지 않고, 사이짓기, 돌려짓기, 섞어짓기 등 땅의 생명력을 끌어올리는 농사법으로 다품종 소량생산을 척척 꾸려낼 줄 아는 농사 달인쯤은 돼야 수만평 농사짓는 이들에게 맞먹는 벌이가 가능했을 터. “그냥 농사지어, 시중에 냈더라면 어림없었을 거요. 직거래를 터서 제값 받고 유기농산물을 낼 수 있었으니 망정이지.” 깔끔한 손맛으로 소문이 자자한 그이가 빵도 찌고, 양파나 고추장아찌 같은 절임 반찬류, 효소음료 등 먹거리를 만들어 곁들인 것이 소득에 적잖은 보탬이 됐다. 빚 없이 두 아들이 대학과 대학원을 마칠 수 있도록 뒷받침했고, 논도 4000평 정도 더 마련했으니 농사도 살림도 고비를 훌쩍 넘긴 셈. “돈이 되는 작물 한두가지만 심고 자기 먹을 거는 다 사먹는 요즘의 시골살림으로는 이만큼 모으고 살기 쉽지 않을 거예요.” 군살없는 씀씀이는 기본이구나. ‘나를 위해서도 돈을 좀 써보자’ 큰맘 먹은 것이 고작 지난해, 찬물에 닿으면 손마디가 쑤시고 아픈지라 전기온수기를 들여놓은 것. 그토록 오래 욕망을 추스르고 알뜰살뜰 궁글려왔을 그이의 삶을 보면 소비에 휘둘리지 않는 삶과 농사짓는 삶이 맞물려 돌아가야 제자리를 잡을 수 있겠구나 싶다.
|
전씨 가족의 소중한 먹거리를 담은 장독들.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