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르쉐@는 ‘도시형 농부시장’이다. 이를 기획하고 주관하는 ‘마르쉐친구들’ 송성희, 김수향, 이보은(왼쪽부터)씨.
|
[나는 농부다] ‘마르쉐친구들’ 이보은·김수향·송성희씨
돈과 물건 교환만 있는 시장 대신
사람·관계가 있는 대안시장 기획
도시·귀촌·2세농부들과 요리사들
다달이 서울 대학로서 장터 펼쳐
재배법, 요리법 같은 정보 나누고
카페 창업 등 변신 계기 되기도
지자체 텃밭축제 모델로도 주목
단호박, 풋콩, 동부콩, 여주, 사과, 햇밤, 참다래, 갓끈동부…. 채소와 과일들이 방금 밭에서 따온 싱싱함을 머금고 있다. 가공품들도 다채롭다. 허브피클, 곡물잼, 양배추 초절임, 살구효소…. 장터에 먹을거리가 없을 수 없지. 찰강냉이범벅, 연잎밥, 들풀비빔밥, 곡물과 채소로 만든 버거, 마른나물 떡볶이, 청국장 쿠키…. 시중에서 찾아보기 힘든 신선하고 ‘별난’ 먹을거리들이 음식에 대한 상상을 자극한다.
“우리 집에 있는 50년 묵은 살구나무 한 그루가 보름 동안 날마다 한아름씩 떨어뜨려준 살구로 만든 빙수예요. 농약도 안 쳤고 퇴비도 안 했어요. 야생 그대로죠.” 살구빙수를 건네는 젊은이의 열띤 설명에서 사뭇 자부심이 묻어난다. “맛있었어요. 뒤끝에 샤하게 감도는 맛은 뭐예요?” 빙수를 먹은 컵을 가져온 젊은이가 묻는다. “앞마당에 키우는 허브로 민트 슈거를 만들어 곁들인 거예요.” 한 그릇의 빙수를 주고받는 관계 너머로 그것을 만든 사람의 삶이 떠오른다.
다달이 두번째 일요일마다 서울 대학로 마로니에공원에서 펼쳐지는 마르쉐@에서 이런 진풍경은 일상이다. 마르쉐@는 ‘도시형 농부시장’이다. 원래 프랑스어로 장터라는 뜻인데, 뒤에 장소 이름을 붙여서 어디서 열리는지를 나타낸다.
“시장의 원형질을 되찾고 싶었어요.” ‘마르쉐친구들’이라 불리는 마르쉐@ 기획자이자 주관자인 김수향(41), 이보은(45), 송성희(46)씨는 입을 모은다. 사람은 사라지고 물건과 돈의 교환만 남아 있는 마켓의 거대한 폭력성을 넘어선 새로운 대안시장을 탄탄히 자리잡게 한 이들은 “먹는 것을 통해 자기와 세계의 관계를 천천히 되묻게 되는 공간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펼쳐놓는다.
세 사람이 뜻을 모은 것은 2011년 봄.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 철공단지 옥상에 조성한 텃밭에서 남는 채소를 나눠 먹을 수 있는 공간이 있으면 좋겠다 싶어 보은씨가 인근 홍대 앞에서 오가닉 카페 ‘수카라’를 운영하던 수향씨를 찾으면서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폭발사고를 겪으며 내 삶의 토대인 에너지와 먹을거리를 누가 어떻게 생산하는지 알고 살아야겠다는 생각에 골몰해 있던 수향씨는 “얼굴과 얼굴이 마주보는 시장”의 그림을 꺼내 보였다. “그래, 시장을 만들자. 농사와 먹을거리를 둘러싼 삶의 경험을 나누면서 세상을 바꿔나갈 수 있지 않을까?” 그날 두 사람은 자신들의 상상의 궤도가 맞물리는 행복감을 맛보았다. 전남 장흥으로 귀농했다가 잠시 올라와 있던 성희씨도 말을 건네자마자 공감했다.
“준비하는 데만 꼬박 2년이 걸렸네요.” 만만찮았나 보다. ‘도시농부들이 장터에 들고 갈 게 뭐가 있나, 한줌밖에 안 되는 걸 팔려고 장터까지 갈 사람들이 있을까?’ 하는 시큰둥한 시선에 부닥쳤다. 하지만 도시텃밭을 하던 예술가들, 귀농귀촌한 이들, 2세 농부들이 호응하면서 윤곽이 잡혀 나갔다. 그들과 머리를 맞대고 어떤 시장을 만들지 밑그림을 그려나갔다. “그 과정에서 합의된 것이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시장”이었다.
|
장터 과일.
|
|
마르쉐의 풍경.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