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에선 대학에서 중의학과 양의학 기본원리를 모두 가르침으로써 서로에 대한 몰이해와 편견을 극복하고 있다. 근대중국의 문호 루쉰은 중의학에 대해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 사기꾼”이라고 단언할 정도로 부정적이었다. 루쉰만이 아니라 근대 중국의 대다수 엘리트들도 그랬다. 하지만 “중의 때문에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지게 되었다!”는 중의 옹호론도 많다. <한겨레> 자료사진
|
‘정조 지킨 귀뚜라미 한쌍’ ‘3년 서리맞은 사탕수수’
구할 수 없는 약만 처방하는 ‘중의’를 비꼰 루쉰처럼
당대 지식인들은 양의를 환대하고 중의를 멸시했다
변하는 중국, 변하지 않는 중국 ⑩
어느 황제가 재위하고 있을 때 많은 궁녀들이 병을 앓고 있었다. 그들은 아무리 좋은 약을 먹어도 별로 효험을 보지 못하였다. 나중에 한 명의가 와서 처방전을 써주었는데 거기에는 “장정 약간 명”이라고 써 있었다. 황제는 어쩔 수 없이 그 의사의 말대로 하였다. 며칠이 지나 친히 가서 살펴보니 궁녀들의 얼굴엔 과연 화색이 가득 돌고 있었다. 그런데 한 쪽 구석에 비쩍 말라 거의 사람같지 않은 남자들이 땅바닥에 엎드려 있었다. 황제가 깜짝 놀라 “저것이 무엇이냐”고 물으니, 궁녀들은 머무적거리다가 “약찌꺼기옵나이다”라고 대답하였다.
<신약(新藥)>(1933)이라는 루쉰의 글에 나오는 이야기다. 원래 청대 저인획이라는 사람이 편찬한 <견호집>에 나오는 이야기인데 루쉰이 당시 여러 사람으로부터의 비판에 직면해 ‘약찌꺼기’ 신세로 전락한 국민당의 원로 우즈후이(吳稚暉)라는 사람을 비판하기 위해 따온 것이다. 헌데 이 글 속에는 은연중에 전통적 중국의학(中醫)에 대한 루쉰의 신랄한 풍자가 숨어 있다.
앓는 궁녀들에 ‘장정 약간 명’ 처방
현재 중국에서는 중의학과 그다지 관련도 없는 인문사회 학계에서 전통적 중국의학에 대해 새롭게 평가하려는 논의가 벌어지고 있다. 또한 서점가에서 중의 이론을 쉽게 설명한 책들이 독자들의 환영을 받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동향을 전하는 글을 읽다가 예전에 읽었던 이 이야기가 불쑥 생각이 난 것이다. 루쉰이 중국의학을 통렬하게 비판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이야기이다. 중의에 대한 루쉰의 비판적 태도는 이른바 ‘국수(國粹)’ 전체에 대한 비판의 기점이기도 하다. 그는 중국의학을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 사기꾼”이라고 단언했다. 루쉰의 열렬한 옹호자를 자임하는 리쩌허우(李澤厚)조차 중국의학과 경극 등에 대한 루쉰의 태도는 너무 한쪽에 치우친 각박한 견해라고 비판할 정도로 이러한 견해는 사실 냉정을 잃은 것이었다. 루쉰과 중의의 불행한 만남은 어린 시절 아버지(周伯宜)의 치료를 담당한 의사의 치료에 대한 불신으로부터 시작된 것이다. “지금까지 누군가가 중의가 정말 믿을 만하다, 처방이 영험이 있다고 말할지라도 나는 도무지 믿지 않았다. 당연히 그 중의 대부분은 그들이 내 부친의 병을 잘못 치료한 때문이었지만 아마 직접 앓아본 병에 대한 스스로의 개인적인 원한도 얼마간 끼어 있었던 것이다.” 의사가 되기 위해 일본 센다이의 의학전문학교에 유학하던 시절에 받았던 서양의학 교육의 영향은 중국의학에 대한 그의 부정적 태도를 더욱 강화시켰다. 루쉰은 13살 때(1893)부터 16살까지(이 사이에 청일전쟁이 벌어진다) 아주 감수성이 예민한 시기에 4년간 아버지의 병수발을 들기 위해 집안의 값나가는 물건을 전당포에 맡기고 멸시를 받아가며 얻은 돈으로 약방에 가서 약을 지어와야만 했다. 그런데 처방전에 써 있는 약들은 ‘장정 약간 명’ 정도는 아니었지만 대부분 겨울철 갈대뿌리, 3년 서리 맞은 사탕수수, 귀뚜라미 한 쌍(주의할 점: 처음에 짝을 지은 것, 다시 말해서 본래부터 한 둥지에 있던 것), 열매 달린 평지목(平地木), 패고피환(낡아빠진 북가죽으로 만든 환약)같은 구하기 힘든 것들이었다. 고생의 보람도 없이 루쉰의 부친은 4년을 앓다가 37살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하직한다. 나중에 루쉰은 특히 ‘귀뚜라미 한 쌍’에 대해서 “곤충도 정조를 지켜야 하는지 재취를 하거나 재가를 해서는 약재로 쓰일 자격조차 없는 것 같다”고 신랄하게 비꼬고 있다. 또한 아버지를 치료한 의사인 ‘천롄허(陳蓮河)’(가명)에 대해서도 “이따금 길거리에서 그가 세 사람이 메는 가마를 타고 날을 듯이 지나가는 것을 볼 수 있을 뿐이다. 소문으로는 그는 아직도 건재하며, 개업을 하는 한편 ‘중의 무슨 학보’를 주재하며 외과에만 능한 양의들을 상대로 크게 싸움을 하고 있다고 한다” 고 싸늘하게 냉소를 던지고 있다.(<아버지의 병>) 병도 못 고치는 돌팔이 의사인 주제에 비싼 의료비를 챙겨 호의호식하는 것도 모자라 무슨 학회지까지 만들려고 동분서주하고 있다니 참으로 가소롭고도 개탄할 노릇이라는 식이다. 루쉰의 부친 병수발 보람없이 하직
|
처방전에 따라 약재를 고르고 있는 젊은 중약사. 중의는 폐지하고 중약만을 살리자는 일각의 주장도 있다고 한다. 중의의 운명은 전통문화 전체가 마주한 곤경이기도 하다.
|
|
황희경/영산대 교수·중국철학
|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