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옷은 몸을 보호하고 보정하는 기능도 있지만, 이성을 유혹하는 구실도 한다. 국내 속옷회사의 패션쇼 모습. <한겨레> 자료사진
|
[토요판/몸] 노출의 사회학
▶ 하얗고 긴 다리가 눈에 훅 들어옵니다. 초콜릿색 어깨 근육에 자꾸 눈이 가네요. ‘하의 실종’과 ‘상의 탈의’가 미덕인 시대, 노출은 자신감의 표현입니다. 그럼에도 노출하지 않는 신체 부위가 있지요. 특별한 관계가 아니면 그곳은 드러내지 않는다는 합의는 어떻게 하게 된 걸까요. ‘벌거벗은 원숭이’와 ‘원숭이’의 서로 다른 노출 행태를 통해 숨은 에로스를 생각해봅니다. 한동안 유행처럼 떠돌던 말이 있다. 단추로 앞을 여미는 셔츠나 블라우스를 입고 맨 위의 단추를 하나만 풀어놓으면 지성(知性)적이고, 두 개를 풀면 야성(野性)적이나, 세 개를 풀면 실성(失性)한 상태라는 말이다. 요즘의 노출 경향을 감안해본다면 이는 다소 시대에 뒤떨어진 비유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의복의 노출 정도에 따른 사회적 인식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꽉 조인 의복에서 오는 답답함을 슬쩍 거부한 것은 지적이며, 약간의 노출은 성적인 매력을 자극할 수 있지만, 지나친 노출은 오히려 거부감이 들 수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고개를 끄덕이게 한다. 갓난아기는 벌거숭이로 태어난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옷은 제2의 피부이다. 우리는 옷을 통해 몸을 가리면서 살아간다. 하지만 이는 인간이 포유류 중에 눈에 띄게 ‘벌거벗은’ 상태라는 점과 비교해 볼 때 매우 흥미로운 현상이다. 인간은 생물학적으로 볼 때 벌거벗은 동물이다. 이에 동물행동학자인 데즈먼드 모리스는 인간에게 생물학적인 특징에 따라 이름을 지어준다면 ‘털 없는 원숭이’가 가장 적합할 것이라 단언한다. 외부의 기온과 상관없이 일정하게 체온을 유지하는 능력을 지닌 포유류의 피부는 털로 뒤덮여 있는 것이 보통이다. 털은 대부분의 포유류에게 있어 추위로 인한 체온 손실을 막아주고, 때로는 낙타의 경우처럼 더위로 인한 체온 상승 역시도 막는 역할을 하기에 매우 중요하다. 인간은 다르다. 갓난아이는 거의 벌거숭이로 태어난다. 온몸에 돋아 있는 솜털은 털로서 기능을 거의 하지 못하기에 있으나 마나 하다. 비단 벌거숭이로 태어나는 포유류가 인간만은 아니지만(쥐의 경우도 거의 털이 없는 새끼를 낳는다) 인간만큼 그 상태 그대로 성장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인간은 성장하더라도 모발만이 특징적으로 자라나며, 성적 성숙기를 지나면서 겨드랑이와 성기 주변에만 약간의 체모가 추가될 뿐, 나머지는 여전히 솜털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기에 ‘털 없는 원숭이’라는 모리스의 명명은 매우 타당해 보인다. 포유류는 온몸 털로 덮였지만생식기 주변에는 털이 없다
이성의 눈에 더욱 잘 띄어
번식 가능성 높이기 위해서다 ‘털 없는 원숭이’인 인간은
옷을 제2의 피부로 삼으면서
기를 쓰고 성 관련 부위 가린다
다른 포유류와 차별화를 통해
이성을 유혹하려 하기 때문이다 모리스가 인간을 ‘털 없는 원숭이’로 칭한 것은 인간이 지닌 동물학적 본성을 정확히 파악하여 인간만이 지닌 인간성의 특징을 근본적으로 고찰하기 위함이었다. 그런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우리가 몸의 노출에 대해 왜 모순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본질적인 이해가 가능할 수 있다. 우리는 몸을 드러내는 것을 찬양하는 동시에 천시하곤 한다. 때로 드러낸 몸은 건강함과 매력의 상징으로 부러움의 대상이 되기도 하지만, 때로는 천박함과 모욕의 상징으로 읽히며 거부와 경멸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발정기에 들어선 수컷 침팬지와 암컷 비비원숭이의 몸은 털로 뒤덮여 있지만, 성기에는 털이 없으며 이들은 이를 감추기보다는 가능한 한 눈에 잘 띄게 드러내려고 한다. 평소에 네발로 기어다니는 침팬지가 두발로 직립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물리적으로 본다면 인간의 노출된 피부는 체온 유지와 피부 보호라는 측면에서는 매우 불리하다. 따라서 인간은 이를 극복하고자 제2의 피부인 옷을 만들어냈다. 동물의 털가죽을 둘러 추위를 막거나 큰 천으로 몸을 가려 햇빛을 차단하는 것, 다치기 쉬운 팔과 다리 혹은 다치면 치명적인 머리, 가슴 등을 단단한 재질로 덮어 가리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이다.
|
붉은 엉덩이를 드러낸 암컷 비비원숭이의 모습. 영장류의 몸은 털로 뒤덮여 있지만, 성기에는 털이 없으며 이들은 이를 감추기보다는 되도록 눈에 잘 띄게 드러내려고 한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