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기간에 30㎏ 넘게 감량한 개그우먼 이희경씨는 요요현상이 걱정되지 않는다고 했다. “요요현상이 와도 자신을 미워하지 않고 다시 뺄 것”이라고 말했다. 7월 31일 서울 여의도공원에서 코믹한 자세를 취했다.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
[토요판/몸]
나의 몸 <6> 개그우먼 이희경의 살
▶ 옷이 얇아지는 여름은 여성이라면 한번쯤 다이어트를 고민하는 계절입니다. 다이어트는 쉽지 않습니다. 독하게 마음먹고 시작한 다이어트가, 많은 경우 자신의 식욕을 확인하며 초라하게 끝납니다. 개그우먼 이희경(29)씨는 <개그콘서트> ‘헬스걸’ 코너를 통해 5개월 만에 32㎏을 감량했고, 2년 동안 ‘요요 현상’ 없이 몸매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유치원 시절 이후로 뚱뚱하지 않은 적이 없었다던 이씨를 만나 그에게 살과 다이어트의 의미가 무엇인지 물었습니다.
2010년 11월 서울 강동경찰서에 황당한 폭행사건이 접수됐다. 택시기사가 20대 여성에게 “그런 뚱뚱한 몸으로 미니스커트를 입느냐. 팬티가 다 보이겠다”고 말했고, 이에 항의하는 여성을 폭행한 사건이었다. 이 택시기사는 경찰 조사에서도 “뚱뚱한 여자들이 미니스커트를 입고 다니는 게 그냥 보기 싫었다”고 진술했다.
우리 사회에서 뚱뚱한 여자로 사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2011년 7월 <개그콘서트>의 한 코너인 ‘헬스걸’에선 이런 장면이 나온다. 뚱뚱한 여자 두 명이 잡지를 뒤적거리며 무슨 다이어트를 할지 고민하다가, 키스 다이어트의 효능에 이끌린다. 그 순간 트레이너 남자가 나타나 말한다.
“과연 이들이 키스를 할 수 있을까. (방청석을 둘러보며) 여기 오신 분들 중에서 이들의 키스 다이어트를 도와줄 분이 있으면 손을 들어달라. 방법은 쉽다. 나와서 5분만 키스를 해주면 된다. 정말 아무도 없나.”
50여가지 다이어트 도전했다 실패했던 과거
웃기려고 한 말이지만, 뚱뚱한 여성의 처지에서 보면 씁쓸한 맛이 남는 개그다. 국내 최초의 플러스 사이즈 모델인 김지양(27)씨는 한 언론사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에서 뚱뚱한 여자로 사는 것은 거리 한복판에서 발가벗고 있는 느낌이다. 사회로부터 소외되고 체념한 채 살아야 한다”고 말했다.
왜곡된 시선의 피해자는 뚱뚱한 여성들만이 아니다. 의학적인 기준에서 적정 체중인 여성들도 비정상적으로 마른 몸을 욕망한다. 기준은 대개 모델이나 여성 연예인이다. 이런 몸을 추구하다 보면 병이 찾아오기도 한다. 먹는 것을 참다가 결국 음식 자체를 거부하게 되는 ‘거식증’이나, 지나치게 절제하다가 식욕이 터지는 ‘폭식증’에 걸리기도 한다. 이는 통계로도 나타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를 보면, 지난해 거식증, 폭식증 등 섭식장애로 병원을 찾은 20대 여성은 같은 연령대 남성에 비해 8.8배가 많았다. 전체 연령대로 확대해도 섭식장애의 80%는 여성이었다.
이제 군살이 없는 ‘마른 몸’은 단순히 미의 기준이 아니다. 많은 여성들에게 욕망의 대상이고, 이 궤도에서 벗어나는 여성들에겐 사회적 압박의 기준이다. 여성으로서, 인간으로서 자존감을 결정짓는 요인이기도 하다.
개콘 ‘헬스걸’에 출연해 5개월간 무려 32㎏ 감량
2년 뒤에도 체중 거의 유지
무작정 굶는 다이어트 피하고
소식과 운동으로 건강 지켜 “제 허벅지 굵어졌단 기사에
다시 굶기 시작한 적 있어요
무작정 식욕을 억제하다 보니
어느날 욕망이 터져버렸어요
먹고 싶은 걸 마구 먹었지요
무의식과 욕망 무시한 결과죠” <개그콘서트>의 한 코너였던 ‘헬스걸’에 출연해 5개월 동안 32㎏을 감량한 이희경(29)씨를 7월31일 정오 서울 여의도의 한 카페에서 만났다. 헬스걸은 다이어트와 체중감량을 유머의 소재로 삼으며 매주 목표 체중을 설정했다. 결국 이 코너에 출연한 이희경씨와 권미진씨는 30~40㎏ 체중 감량에 성공했다. 이씨는 이 코너를 통해 86.5㎏의 체중을 55㎏ 미만으로 줄였지만, 자신의 몸에 대해 ‘말랐다’고 표현하지 않았다. “제가 살을 많이 뺐지만, 제 몸이 말랐다고 말하진 않아요. 사실 예전에 비해 많이 말랐죠. 그렇지만 사회적으로 ‘말랐다’고 인정되는 몸은 훨씬 날씬하잖아요. 제가 말랐다고 하면 듣는 분들이 이상하게 볼까봐, 그냥 건강한 몸매가 됐다고 해요.” 이씨는 2010년 케이비에스 공채 25기 개그맨으로 선발돼 첫해 <개그콘서트>의 ‘슈퍼스타케이비에스’ 코너에서 찬송가를 부르는 ‘권사님’ 역으로 인기를 끌었다. 이씨는 당시 핑크색 투피스를 입고 나이 지긋한 교회 권사님 역을 능청스럽게 소화해냈다. 그가 통통한 체형이 아니었으면 쉽게 소화해낼 수 없는 역이었다. 이듬해 7월, 이씨를 유명하게 만든 코너 ‘헬스걸’이 시작됐다. “사실 ‘헬스걸’은 같이 출연했던 이종훈 선배의 아이템이에요. 처음부터 이 코너에 욕심이 났어요. 저는 어릴 적부터 비만이었거든요. 유치원 때 잠시 말랐고, 그 이후로 늘 뚱뚱했어요. 치마와 원피스를 입고 다녔던 것도 유치원 때가 마지막이에요. 수십가지의 다이어트를 시도했지만 번번이 실패했죠. 여자 20대에 한번쯤은 날씬하고 싶었어요.” 이씨가 그동안 해온 다이어트 종류만 해도 50가지가 넘는다. 이 중에 하나의 음식만 먹으며 시도하는 ‘원푸드 다이어트’만 10여가지라고 했다. 셀 수도 없이 많은 다이어트를 시도했지만, 실패할 때마다 드는 생각은 비슷했다. “고기만 먹는 다이어트, 과일만 먹거나 한약만 먹는 다이어트 등 안 해본 다이어트가 없어요. 침으로 살을 빼는 방법이 있다고 해서 온몸에 고슴도치처럼 침을 맞은 적도 있었어요. 그럴 땐 속으로 ‘이렇게까지 해야 하나’라는 생각도 들었죠. 별의별 시도를 다 하면서도 매번 실패하니까 자괴감이 들었어요. 이렇게까지 했는데도 또 먹고 싶은 나는 도대체 뭐냐. 정말 음식이 뭐라고. 나 자신이 너무 싫다. ‘에라 모르겠다. 다시 먹자’는 식으로 다시 폭식을 하곤 했죠.” 이렇게 숱한 실패를 겪으며 자기 자신을 미워했던 이씨는 오히려 “다이어트에 실패했다고 자기 자신을 미워하지 말라”고 말한다. “저는 성격이 긍정적인 편이라, 뚱뚱해도 즐겁게 살려고 했어요. 그렇지만 20대 중반이 넘어서자 사회적인 시선이 부담스러웠고, 다이어트는 번번이 실패했죠. 점점 자기 자신을 미워하고, 마음을 걸어 잠그게 되더라구요. 자괴감에 빠지면 작은 실패도 더 크게 느껴지고, 삶이 불행해질 뿐만 아니라 다이어트도 더 어려워졌어요.”
|
2010년 <개그콘서트>의 ‘슈퍼스타케이비에스’ 코너에서 나이 지긋한 교회 권사님 역을 능청스럽게 소화하던 이희경씨. 한국방송 제공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