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난 앞에 무능하지만 카메라는 확실히 끌고 다니는 정치인의 모습. 최근에도 본 듯한 기분이 드는 건 착각일까.
|
[토요판] 위근우의 웹툰 내비게이터
<삼풍>의 손영수, 한상훈 작가
“아사리판이라고.” 얼마 전 공개된 세월호 참사 당일 해경 상황실 녹취록에서 발견한 말이다. 위기관리는커녕 상황 통제도 못하고 누구도 책임은 지지 않으려는 그날의 풍경을 이보다 함축적으로 보여주는 말이 있을까. 당장 뒤도 보지 않고 구조 작업에 ‘올인’해야 할 시점에 벌어진 관료주의의 구태에 울컥하지 않기란 어려운 일이다. 손영수(글), 한상훈(그림) 작가의 웹툰 <삼풍>이 그려내는 또 하나의 ‘아사리판’을 보며 이중 삼중의 분노를 느끼는 건 그래서다. 작가가 자료 조사와 취재를 통해 19년 만에 재현한 삼풍백화점 붕괴 현장의 모습을 보노라면, 세월호 관련 녹취록에서 일종의 기시감을 느낄 정도다. 물론 지난해 5월부터 시작한 <삼풍>이 세월호 참사에 대한 알레고리로서 삼풍백화점 붕괴라는 소재를 가져온 건 아니다. 삼풍 붕괴는 말하자면 근대적 자본주의가 이뤄낸 고속 성장이 얼마나 허약한 지반 위에 서 있었는지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즉 경제적 효율성만을 따진 이기적 인간들의 이기적 선택이 어떤 식의 결과적 악을 만들었는지 보여주는 사건인 것이다. <삼풍>의 에피소드 중 그 이름도 의미심장한 ‘괴물’ 편에서 삼풍의 이준 회장에 대해 작가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이준 회장은 5억원의 매출을 위해 130여명의 목숨을 담보로 잡았다. 어떤 사람은 자신이 괴물이 된지도 모른 채 괴물로 살아간다.” 명백한 살의는 없다. 하지만 나의 손해를 감수하지 않고 이익에 충실하려는 태도가 수백명의 사람을 죽일 수 있다. 이것이 <삼풍>이 전하고자 하는 1990년대의 단면이다.
|
위근우 매거진 <아이즈> 취재팀장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