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탐정으로 활약하는 <오성×한음>의 오성과 한음. 하지만 이 설정이 이 작품의 전부는 아니다.
|
[토요판] 위근우의 웹툰 내비게이터
<포천>, <한섬세대>, <오성×한음>의 유승진 작가
정통 사극 <명량>, 웨스턴 사극 <군도>, 코믹 사극 <해적>까지 올해 극장가는 사극 풍년이다. 성격이 다른 이들 사극에서 조선이라는 시대적 배경은 때론 역사적 사건으로, 때론 장르적 상상력을 실현할 수 있는 시공간으로 활용된다. 이 중 무엇이 옳거나 그르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너무 역사 고증에 충실하면 픽션으로서의 상상력을 발휘하기 어렵고, 시대를 너무 맥거핀(극적 장치)으로 활용하면 굳이 그 시대를 선택할 당위가 사라진다. 사극들은 이 양극단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며 최적의 균형을 찾게 된다. 그런 면에서 현재 <오성×한음>을 연재하는 유승진 작가의 ‘팩션’ 사극들은 상당히 모범적인 답을 모색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사실 오성과 한음이라는 오래된 콤비를 소환해 셜록 홈스와 왓슨 같은 추리 콤비로 재탄생시키는 것이 아주 기발하지는 않다. 역사 속 석학이 추리를 펼치는 <탐정 아리스토텔레스>나 <살인의 해석> 같은 국외 추리소설도 있었고, 당장 한국에도 케이블 드라마 <조선추리활극 정약용>이 있다. 사극에 특화된 만화가로서 유승진 작가의 탁월함은 이러한 가상의 설정을 실제 역사의 흐름 안에 위화감 없이 배치한다는 것이다. 가령 실제로 젊은 날의 두 사람이 사가독서라 하여 일종의 휴가를 받은 것에 대해 탐정으로서 왕의 밀명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절묘하게 끼워 맞추는 식이다. 이건 단순히 작가의 역사 지식을 과시하는 정도로 폄하할 수 없는데, 그들의 첫 사건이자 미처 피의자의 억울함을 풀어주지 못했던 사건을 역시 역사에 기록된 고문 중 낙태한 임산부의 일과 연결시킬 때, 공권력의 빈틈을 보완하는 탐정으로서 두 사람의 캐릭터가 훨씬 생생하고 단단하게 만들어진다.
|
위근우 매거진 <아이즈> 취재팀장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