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곳’의 무대인 대형마트에서 주인공 이수인과 직원들이 벌이는 조용한 시위.
|
[토요판] 위근우의 웹툰 내비게이터
<송곳>의 최규석 작가
그럼 이제 주인공이 부러질 일이 남은 걸까. 최규석 작가의 <송곳> 2부 마지막 편에서 ‘분명 하나쯤 뚫고 나온다. 가장 앞에서 가장 날카롭다가, 가장 먼저 부서져버리고 마는 그런 송곳 같은 인간이’라는 내레이션을 보며 그런 생각이 들었다. 주인공 이수인과 그의 동료들이 직장인 푸르미의 부당해고 음모를 밝혀내고 승리감에 환호하는 순간, 최규석 작가는 희망찬 미래에의 전망 대신 이수인이 그러했듯 과거 투쟁의 선봉에 섰다가 부러지고 만 노동자 철승의 모습을 비춰줬다. 이길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고 싸웠지만 피 흘리며 쓰러지고 만 이의 모습을. 자본의 논리 앞에서 생존권을 지키려는 이들의 힘겨운 모습을 그려온 이 작품은 그래서 평소보다 더 먹먹하게 느껴졌다.
한국 노동 문제를 다루는 <송곳>의 성격을 설명하기 위해 최규석이라는 작가가 얼마나 다양한 작품을 통해 한국 사회의 낮은 곳을 그려왔는지 말하는 건 새삼스러운 일이다. 다만 당장의 형편 때문에 꿈꾸는 것도 쉽게 허락되지 않는 아이들(<울기엔 좀 애매한>), 민주주의를 위해 군사정권과 싸우며 피 흘리는 시위대(<100℃>)의 모습을 그리되 그들의 고통을 전시하지 않는 미덕이 <송곳>에서 더 뚜렷해졌노라 말할 수 있겠다. 해당 작품들은 선한 피해자와 악한 가해자의 구도로 독자의 정의감에 호소하기보다는 약자가 결국 피해자가 될 수밖에 없는 폭력적인 시스템의 단면을 들춰낸다. <송곳> 역시 상사에게 인격 모독적인 말을 듣는 푸르미 직원들, 복직 투쟁을 하다가 용역 깡패들에게 폭행과 추행을 당하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모습을 보여주지만 그들의 고통에 밀착해 독자에게 어떤 감정을 강요하기보다는 왜 이 투쟁이 벌어지고 왜 피를 흘리게 되는지 그 맥락을 보여준다. 그들이 피를 흘리니 불쌍히 여기자는 게 아니라, 그들이 왜 피를 흘리는데도 불구하고 이 싸움터에 나가는지 정도는 알자는 거다.
|
위근우 매거진 <아이즈> 취재팀장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