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실은 이처럼 불공평한 게임 같지만 <다이스>의 세계엔 임무에 따른 보상이 존재한다.
|
[토요판] 위근우의 웹툰 내비게이터
<블라인드 메르헨> <다이스>의 윤현석 작가
게임에 대해 비판적인 사람들의 단골 레퍼토리 중 하나는 게임의 세계에 빠지면 현실감각을 잃게 된다는 것이다. 왜 그들이 게임으로 도피했는지 그 원인을 현실에서 찾지 않고 오직 게임 탓만 하는 그 편협함에 얼마든지 반박할 수 있지만, 실제로 잘 만든 판타지 게임이나 만화의 세계를 즐기다 보면 종종 지금 내가 있는 현실이 참 시시하고 재미없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윤현석 작가의 판타지 만화 <다이스>는, 이토록 답답한 삶으로부터 판타지 게임으로 도피하고픈 욕망이 실제로 실현되는 순간을 다룬다.
반의 ‘빵셔틀’인 동태가 우연히 사람의 능력치를 올려주는 신비의 주사위 ‘다이스’를 주워 ‘다이서’(다이스를 사용하는 사람)가 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 이 작품에서, 다이서의 삶이란 판타지 게임과 비슷하다. ‘다이스’의 관리자인 엑스가 준 임무를 수행하면 그에 합당한 보상으로 자신이 원하는 능력치를 올릴 수 있다. 언제나 출발부터 불공평한 삶이라며 힘들어하던 동태에게 ‘다이스’로 능력치를 올리는 판타지의 세계는 현실의 그것보다 훨씬 공정하고 이상적이다. 그가 단순히 자신의 능력을 올리는 데 만족하지 않고 자기 대신 ‘빵셔틀’이 된 병철에게 다이스를 나눠준 건, 자신이 그러하듯 남들도 이 판타지의 세상에서 행복하리라 믿어서다. 하지만 ‘다이스’의 존재가 공개된 뒤 너도 나도 더 많은 ‘다이스’를 취하려 하는 경쟁과 물리적 다툼 속에서 이 판타지의 세계는 모두가 평등한 유토피아가 아닌 더욱더 치열한 아비지옥이 된다.
|
위근우 매거진 <아이즈> 취재팀장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