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화가 메가쑈킹(고필헌)과 대중음악평론가 김작가(김성민).
|
[토요판] 세상의 모든 영상
[한겨레담] “노세 노세~ 홍대쫄깃쎈타에서 노세!”
“노세 노세~ 쫄깃쎈타에 모여 노세!” 개성 넘치는 이름을 가진 카페나 클럽이 즐비한 홍대 거리에서도 ‘쫄깃쎈타’는 으뜸으로 튀는 작명이다. 이름만큼 이 가게의 철학은 독특하다. 벽에 붙은 무시무시한 경고문을 보자. “인간은 누구나 조만간 죽는다. 그러니까 지금을 즐기자!”
이곳은 <애욕전선 이상없다>로 이름을 날린 만화가 메가쑈킹(고필헌)과 대중음악평론가 김작가(김성민)가 만든 공동체 문화공간이다. 제주도에 ‘제주쫄깃쎈타’가 있으니 ‘홍대쫄깃쎈타’는 2호점인 셈이다.
[한겨레담] “노세 노세~ 홍대쫄깃쎈타에서 노세!”
‘술벗’인 두 사람은 2010년 여름, 삭막한 개인주의 시대를 보듬어 안을 공동체 문화공간을 홍대 한복판에 건설하자고 뜻을 모았다. 그러나 비싼 임대료를 마련하지 못해 계획은 위태로웠다. 그러다가 술자리에서 ‘차라리 제주도로 가자’고 계획을 바꿨다. 제주도의 특성을 살려 게스트하우스로 꾸민 제주쫄깃쎈타가 먼저 문을 열었다. 옥빛 협재 바다 인근에 차린 제주쫄깃쎈타는 3년째 잘 굴러가고 있다.
용기를 얻은 두 사람은 내친김에 홍대쫄깃쎈타를 질러버렸다. 종잣돈이라고는 제주도에서 번 푼돈이 전부지만 ‘잘될 것이라는 믿음’은 굳건하다. 일단 인테리어에 큰돈을 쓰지 않았다. 내부를 있는 그대로 놓고, 복잡한 가구나 장식은 오히려 덜어냈다. 대신 속을 채우는 일은 사람들에게 맡기기로 했다. 메가쑈킹은 “쫄깃쎈타의 핵심 인테리어 소재는 사람”이라고 말했다.
|
쫄깃쎈타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