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업실에서 만난 이매진 사람들. 왼쪽부터 오혜진 디자이너, 최예원 편집자, 정철수 대표, 김둘미 마케터, 기인선 편집자. 또 한 사람 김성현 편집자는 휴가 중이어서 함께하지 못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
작지만 강한 출판사 ⑦ 이매진
소수자들의 목소리 대변에 주력‘희망의 인문학’ ‘감정노동’ 등 성과
신진필자 발굴 발빠른 기획물 내놔 이매진의 출판철학 또는 모토는 “새로운 세계를 상상하라”는 것이다. 비틀스 멤버 존 레넌의 노래 ‘이매진’을 떠올리게 하는데, 정철수(40) 대표는 회사 이름도 바로 그 노래에서 따왔다고 했다. 정 대표는 정치학 석사과정을 마친 뒤 출판사 ‘이후’ 등에서 일하다 10년 전 1인 출판사로 이매진을 시작했다. 후마니타스, 갈라파고스, 뿌리와이파리 등의 역사도 10년 안팎인데, 모두 서울 마포구의 이웃에 포진해 있다. “노무현 정권 출범 전후인데, 진보담론을 펴나가겠다는 의지 같은 걸 공유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출판사업도 시대 분위기나 기운의 영향을 받을 테니까요.” 합정동 주택가 연립주택 3층에 작업장을 차린 지 2년쯤 된 이매진에는 정 대표 외에 5명이 함께 일하는데 모두 여성들이다. 주 5일 근무에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나인 투 파이브’다. 야근 없고, 출판기념회 없고, 저녁 회식도 없는 ‘3무’가 이매진 근무 원칙. “기념회와 회식도 직원들에겐 업무연장일 수 있어서 부담이 됩니다.” 아예 없애버리고 자율성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인문사회 분야 책을 많이 내지만 분야에 구애받지 않는 종합출판을 지향한다. ‘어느 성폭력 생존자의 빛나는 자유 일기’라는 부제가 붙은 <눈물도 빛을 만나면 반짝인다>는 단기간에 1만부 넘게 팔렸다. 노숙자, 빈민, 죄수 등 최하층 약자들에게 정규 대학 수준의 인문학을 가르치는 ‘클레멘트’ 코스를 소개한 <희망의 인문학>은 2만부 이상 나간 이매진 간판 도서다. <감정노동>도 1만부 이상 나갔고, 5천부를 넘긴 책들이 10여종 된다. 파리코뮌에서 러시아혁명까지 세상을 바꾸려던 사람과 사상 얘기를 담은 <핀란드역으로>도 2쇄를 찍었고, 1970년대 여성 노동자들 얘기인 <여공 1970>도 좋은 평을 받았다. 이매진은 지금까지 206종의 책을 냈다. 정 대표는 “외국책 번역서 비중이 절반 이하로 낮은 편이고, 국내 신진 필자들을 많이 발굴한다”고 했다. 그래서 출판 속도가 빠르고 출간 종수도 많다.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은 서울 은평구에서 같은 이름의 헌책방을 운영하면서 자신이 읽은 책만 판매하는 윤성근씨가 쓴 책인데, 5천부 가까이 나갔다. “잘나가는 기성 필자 모시기 경쟁 때문에 인문사회 분야 선인세도 굉장히 높아졌어요. 야구도 3할대면 잘 치는 것 아닌가요. 다 홈런을 칠 순 없잖아요. 1만부, 5천부짜리 내놓으라고 닦달하느니 1천부 팔릴 책 2천부 팔리게 만드는 게 더 낫다는 생각입니다.” 연간 매출은 5억원 정도. “적자는 없었는데, 올봄에 처음 월별 적자가 났다”고 했다. 그래도 빚이 없고 매출이 완만한 상승곡선을 그려왔기에 연간 적자는 면할 것으로 내다봤다. 나름의 대책도 세웠다. <과로사회> 등 지금까지 3권이 나온 ‘이매진 시시각각’ 시리즈도 그중 하나다. 200쪽 안팎에 1만원 정가의, 월간지 별책부록 같은 느낌의 발빠른 기획물이다. “출판사 간부들이 인문출판을 너무 어렵게, 고답적으로 바라보는 게 아니냐는 생각이 듭니다. 필자는 교수 아니면 안 된다는 식으로 말이죠.” 그런 걸 깨보겠다는 도전의식이 있다. 하반기에 나올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