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 미래포럼
|
제4회 아시아 미래포럼
중훙우 중 사회과학원 CSR 센터장
단순한 사회공헌에 그쳐선 안돼 공정거래·임직원존중 등 기본 중요
지역사회와의 관계 강화도 필요 앞으로 10년 동안 중국을 이끌 시진핑-리커창 지도부는 30년 동안 앞만 보고 달려온 개방의 피로를 씻고 사회의 기풍을 다잡는 일에 힘을 쏟고 있다. 새 정부가 중점을 두는 것은 경제성장이 국민 삶의 질 개선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 가운데 특히 환경보전과 식품안전에 신경을 쓰고 있다. 그럼에도 독극물 우유 사건 등 불미스러운 일들이 계속 일어나자 리커창 총리는 “가해자들이 감당할 수 없는 높은 벌금을 부과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중국 최고법원도 안전하지 않은 식품이나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에 강경하게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했다. 이렇게 달라진 분위기는 기업에 균형 있는 경영계획을 수립하라는 무언의 압력이 되고 있다. 환경, 인권, 지역사회 등과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는 기업은 어려움에 봉착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 기업을 포함해 이제 중국에서 활동하는 기업들은 이른바 ‘사회적 면허’를 얻기 위해 더 넓은 이해관계자 그룹을 고려해야 하는 것이다. 31일 아시아미래포럼의 연단에 서는 중국 사회과학원 중훙우(사진) 사회책임경영(CSR) 센터장은 “국토자원부, 상무부 등의 정부 부처들이 기업의 사회책임경영을 강화하는 정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중국에 진출한 외국 기업들의 환경·사회 문제를 주의 깊게 보고 있다”고 말한다. 이런 노력은 중국 자체의 사회책임경영의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일로 구체화하고 있다. 좀더 지켜봐야 하지만 자칫 국제기준에 맞춰 사회책임경영 원칙을 세워 놓은 외국 기업한테는 이중 부담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중 센터장은 중국 정부가 기업들에 요구하는 사회책임의 수준이 아직은 “기초적”인 것들이라고 말한다. 글로벌 가이드라인과 중국 내 표준이 서로 상충되는 것이 아니라는 얘기다. 예를 들어 빵을 만드는 회사라면 좋은 재료로 맛있는 빵을 만드는 것이 사회책임의 기본이란 것이다.
|
중훙우 중 사회과학원 CSR 센터장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