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6.08.22 18:01 수정 : 2016.08.22 18:49

박종현
경남과학기술대 경제학과 교수

<유한계급론>으로 잘 알려진 소스타인 베블런(1857~1929)은 학자로서의 명성은 높았지만 평생을 대학 내의 ‘이방인’으로 보냈다. 오랜 기간 동안 강사 자리를 벗어나지 못했던 것, 임용 후에도 시카고·스탠퍼드·미주리·뉴욕사회과학원을 전전했던 것은 대학과의 불화 때문이었다. 괴팍한 성격이나 기행 등 개인적 차원의 문제도 있었다. 하지만 대학은 지식을 보존하고 확장하는 ‘학문의 전당’이자 학문 후속세대를 양성하는 ‘고등교육기관’이어야 한다는 신념이 규모의 확대에 주력하던 당대의 대학과 부딪쳤던 게 더 큰 원인이었다.

베블런은 대학의 가장 큰 덕목이 ‘한가로운 호기심’과 ‘장인본능’이라고 보았다. 인간은 한가로운 호기심(idle curiosity)으로 인해 보상이나 유용성의 고려 없이도 사물에 대한 지식을 추구하고 그 속에서 희열을 느낄 수 있다. 인간은 또한 사물의 원리를 스스로 납득할 수 있게 만들고 이를 현실에서 완벽하게 재현하려는 장인본능(instinct of workmanship)으로 인해 객관적 지식들의 체계를 쌓을 수 있다. 그는 교수와 학생 사이의 지적인 상호작용이 이러한 본능들을 고취시킴으로써 고등학문을 보존하고 발전시킨다고 믿었다. 대학이 진정한 학문의 전당이 되기 위해서는 의사·법률가·경영자를 양성하는 전문대학원이나 시민적 덕성의 고취를 위한 학부생 교육을 포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던 것도 이 때문이다.

대학의 본질 그리고 대학교육과 관련해서는 벤처기업가 벤 넬슨이 펼치고 있는 영리대학 ‘미네르바 스쿨’의 최근 실험이 눈에 띈다. 이 대학의 교육모델은 실무 중심 현장밀착형 교육이 아닌 범용성 교양교육을 강의가 아니라 세미나 방식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 대학은 비판적이고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법, 토론의 흐름을 이해하고 자신의 주장을 펼치는 법, 입장이 다른 상대를 설득하는 법과 같이 보편적인 지식이자 부단한 시행착오를 통해 익혀지는 실천적인 지식을 가르친다. 교수는 첨단 기술을 활용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최상의 학습법을 구사하며 세미나를 이끈다. 수업시간 내내 다양한 형태의 질문이 던져지는데, 학생들은 퀴즈에 답하거나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며 주제에 몰입하도록 유도된다.

넬슨의 경우, 대학은 그 본질이 ‘학문’이 아닌 ‘교육’에 있기에, 기업과 사회의 수요에 적극 부응해야 하고 소비자 주권과 영리기업의 논리가 필요하다고 믿는다. 그가 지향하는 대학은 교수에 의한, 교수를 위한, 교수의 대학이 아니라 경영자가 주도하는 고객 중심의 대학이다. 이 점에서 그는 베블런과 정반대 편에 있다. 그러나 지식의 체계성을 중시하고, 세미나식 수업을 대학 교육의 전면에 내세운 것은 베블런과 아주 흡사하다.

대학은 학문의 전당이고 대학의 사명은 학문 후계자 양성에 있다는 베블런의 주장은 틀렸다. 오늘날 사회가 요구하는 것은 더 많은 배움의 기회를 주는 것이며, 대학은 새로운 방식을 동원해 문호를 더 개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대학이 진정으로 필요한 지식을 제공할 수 있고, 미네르바 스쿨과 같은 혁신적 ‘기업’의 도전에 맞서 살아남을 수 있으려면, 영리기업가보다 더 절실한 문제의식과 더 강력한 동기와 더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요구된다. 관건은 대학의 주인임을 자처하는 교수들이 교육의 영역에서 ‘한가로운 호기심’과 ‘장인본능’의 빛을 학생들과 함께 얼마나 밝게 만들 수 있을지에 달려 있다. 그렇지 않다면 이화여대 ‘미래라이프대학’ 사태가 때와 장소를 달리해서 반복되고, 대학의 주인이었던 학자들이 그 자리를 ‘세속적 인간’들에게 내줘야 할지도 모른다.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세상읽기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