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중권 문화평론가
|
선생의 다다-초현실주의 성향은 연평 행차보다 멀리 거슬러 올라간다. “좌파주지” 발언 당시 선생은 “명진 스님과 만난 적도 없다”고 했다. 이 발언에는 선생과 스님의 공존을 보여주는 한 장의 사진이 동반됐으니, 이렇게 존재로써 부재를 주장함으로써 선생은 실존의 근원적 부조리를 드러냈던 것이다. 다만 이 작품이 어느 희극배우를 표절했다는 구설에 휘말린 것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상수 읎다.”
선생에게는 시련도 많았다. 선생을 시기하는 자들로부터 선생은 차남이 법학교에 부정입학을 했다는 모함을 받기도 했다. 자식에게 배반당한 부모의 심정을 이해한다면, 선생을 향해 차마 그런 짓을 저지를 수는 없었을 것이다. 일찍이 선생은 법학교법이 “3당 야합”이라고 비난한 적 있는바, 하필 자제분이 몸소 그 저열한 야합에 동조하고 나서는 바람에 선생의 심경은 몹시 착잡했던 터였다.
부당한 비난도 받았다. 여성이 “자연산”이라 함은 인간이 자연과 구별되는 존재가 아니라, 인간 역시 자연에 속한다는 투철한 생태주의 의식의 발로다. “룸”이라는 말을 시비하기도 하나, 이 역시 ‘내재적 관점’을 모르는 자문화중심주의의 폭력일 뿐이다. 선생이 적을 둔 한나라당에서는 룸살롱을 보존, 계승, 발전시켜야 할 ‘(밤)문화’로 여긴다는 문화적 상대성을 고려한다면, 이 역시 딱히 시비할 일은 아니리라.
‘무상급식’이 민주당의 구호로 알려져 있으나, 전국에서 최초로 그를 실시한 것은 안상수 선생의 지역구. 선생의 직간접적인 도움이 없었다면 이 업적은 불가능했을 터였다. 이 인덕이 적까지도 감화시킨 것일까? 한나라당과 보수언론에서 ‘대표 교체론’을 떠들 때, “박희태 의장은 날치기 예산처리에 책임을 지고 사퇴해야겠지만, 안 대표는 계속해도 좋다”며, 정적들까지 선생을 옹호하고 나선바, 이는 선생의 각별한 인품으로밖에는 설명할 길이 없을 것이다.
진중권/ 문화평론가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