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 기자의 휴심정]
‘열매’ 맺는 기독교인문학운동
|
크리스찬아카데미의 원장 이근복 목사(왼쪽)와 배경임 실장이 서울 종로5가 사무실 근처 서점에서 ‘목회자인문학’에서 함께 읽을 책들을 살펴보고 있다.
|
|
지난 17일 부산에서 열린 목회자인문학모임. 크리스챤아카데미 제공
|
편견·배타·타락의 중세 암흑기 불러 북미 근본주의 영향 받은 한국 교회
세상과 담쌓고 성장에만 목매 기독청년·청어람·크리스찬아카데미…
공부모임 만들고 강의 듣고 토론 기복신앙 벗어나 삶에서 실천
교인도 지역도 덩달아 새롭게 인문학부흥회 여니 주민들 북적
“정신적 지평 넓고 풍요롭게” 삶에서 시작해 삶으로 돌아와 인문학 공부는 이처럼 슬로건이 아니라 실질적인 변화를 위해 필요한 것이라고 인문학 선구자들은 강조한다. 밝은누리 공동체 최철호 대표는 20여년 동안 공동체에서 결혼, 임신, 출산, 육아, 식의주 생활양식, 교육, 소비, 생태 등 실제 공동체에서 도움이 되는 인문학을 함께 공부해왔다. 그뿐이 아니다. 신학대학원생도 어려워하는 <역사적 예수>와 같은 신학서와 동양고전들, 들뢰즈와 화이트헤드 등 매우 낯설고 어려운 철학책들마저 읽는다. 그는 직장인·주부·청년들이 이런 책들을 읽어낼 수 있는 것은 삶에서 시작하고 삶으로 돌아오는 공부를 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그는 인문학 공부 자체보다는 실제 삶으로 끌어내는 인문학을 강조한다. 그는 “학문들이 파편화되고 신앙과 인문사회과학의 소통이 원활하지 못한 것은 모두 삶을 상실한 채 학문하기 때문”이라며 “삶에 적용하고 해석하고 검증하는 학습실천공동체를 만들어 공부해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기독교 원로인 김경재 목사(한신대 명예교수)는 “기독교 목사와 신학자의 삶은 시공간적으로 제한돼 독단적이 될 위험이 있다”며 “인문학을 공부함으로써 삶의 다양성과 풍요로움을 간접적으로 체험해 정신적 지평을 넓고 풍요롭게 해 기독교적 신앙과 사유를 올바르게 자리매김할 수 있고, 기독교 전통신앙과 신학을 새롭게 해석해 동시대인들에게 더 잘 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기독교인문학 공부모임 연락처 △크리스찬아카데미: (02)747-6180 △기독청년아카데미: (02)764-4116, lordyear.cyworld.com △청어람아카데미: (02)319-5600, ichungeoram.com △기독인문학아카데미: (02)6925-1526 cafe.daum.net/ioch 글·사진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5명의 목사가 추천하는 인문학책
김경재 작은삭개오교회 목사
해석학이란 무엇인가(리처드 팔머),
동양학 어떻게 할 것인가(김용옥)
문명간의 대화: 다산기념 철학강좌 5(두유명·두웨이밍)
한국문화사 서설(조지훈)
담론(신영복)
원효에서 다산까지(김형효)
종교체험의 여러 모습들(윌리엄 제임스)
성스러움의 의미(루돌프 오토)
삶과 온생명(장회익)
신앙과 이성 사이에서(길희성) 김기석 청파교회 목사 서양문명을 읽는 코드 신(김용규)
고전(임철규)
한국인의 문화적 문법(정수복)
수평선 너머(함석헌)
영혼의 자서전(니코스 카잔차키스)
혐오와 수치심(마사 누스바움)
배제와 포용(미로슬라브 볼프)
예언자들(아브라함 요슈아 헤셸)
탐욕의 시대(장 지글러)
차이의 존중(조너선 색스)
신을 옹호하다(테리 이글턴)
이명동 의선교회 목사 침묵(엔도 슈사쿠)
거짓의 사람들(모건 스콧 펙)
오두막(윌리엄 폴 영)
도덕경(노자)
타샤의 정원(타샤 튜더, 토바 마틴)
나무야 나무야(신영복)
오래된 미래(헬레나 노르베리호지)
나쁜 사마리아인들(장하준)
우리들의 하느님(권정생)
공부하는 삶(앙토냉 질베르 세르티양주) 지형은 성락성결교회 목사 고백록(성 아우구스티누스)
수도규칙(성 베네딕트)
그리스도인의 자유(마르틴 루터)
유토피아(토머스 모어)
팡세(파스칼)
경건한 요청(필리프 야코프 슈페너)
월든(헨리 데이비드 소로)
죄와 벌(도스토옙스키)
나를 따르라(디트리히 본회퍼)
교회(한스 큉)
최철호 밝은누리 대표 조선상고사(신채호)
노자 이야기(장일순)
관념의 모험(화이트헤드)
희생양(르네 지라르)
대산 주역 강의(김석진)
동의보감(허준)
진보와 빈곤(헨리 조지)
원형과 무의식(카를 융)
다석 강의(유영모)
중력과 은총(시몬 베유)
동양학 어떻게 할 것인가(김용옥)
문명간의 대화: 다산기념 철학강좌 5(두유명·두웨이밍)
한국문화사 서설(조지훈)
담론(신영복)
원효에서 다산까지(김형효)
종교체험의 여러 모습들(윌리엄 제임스)
성스러움의 의미(루돌프 오토)
삶과 온생명(장회익)
신앙과 이성 사이에서(길희성) 김기석 청파교회 목사 서양문명을 읽는 코드 신(김용규)
고전(임철규)
한국인의 문화적 문법(정수복)
수평선 너머(함석헌)
영혼의 자서전(니코스 카잔차키스)
혐오와 수치심(마사 누스바움)
배제와 포용(미로슬라브 볼프)
예언자들(아브라함 요슈아 헤셸)
탐욕의 시대(장 지글러)
차이의 존중(조너선 색스)
신을 옹호하다(테리 이글턴)
이명동 의선교회 목사 침묵(엔도 슈사쿠)
거짓의 사람들(모건 스콧 펙)
오두막(윌리엄 폴 영)
도덕경(노자)
타샤의 정원(타샤 튜더, 토바 마틴)
나무야 나무야(신영복)
오래된 미래(헬레나 노르베리호지)
나쁜 사마리아인들(장하준)
우리들의 하느님(권정생)
공부하는 삶(앙토냉 질베르 세르티양주) 지형은 성락성결교회 목사 고백록(성 아우구스티누스)
수도규칙(성 베네딕트)
그리스도인의 자유(마르틴 루터)
유토피아(토머스 모어)
팡세(파스칼)
경건한 요청(필리프 야코프 슈페너)
월든(헨리 데이비드 소로)
죄와 벌(도스토옙스키)
나를 따르라(디트리히 본회퍼)
교회(한스 큉)
최철호 밝은누리 대표 조선상고사(신채호)
노자 이야기(장일순)
관념의 모험(화이트헤드)
희생양(르네 지라르)
대산 주역 강의(김석진)
동의보감(허준)
진보와 빈곤(헨리 조지)
원형과 무의식(카를 융)
다석 강의(유영모)
중력과 은총(시몬 베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