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은하에서 17만광년가량 떨어진 왜소은하인 ‘대마젤란은하’. 2013년 1월24일 허블망원경이 촬영했다. 이런 왜소은하 중엔 별 대신 ‘암흑물질’로 내부가 꽉 차 있는 은하들이 있다. 나사(NASA) 제공
|
[토요판] 별
은하계의 어떤 미스터리
▶ 우주의 시공은 끝없이 광활합니다. 광활한 우주를 지배하는 물질은 인류가 지금까지 접한 어떤 것과도 다릅니다. 다른 물질과는 섞이지도, 반응하지도 않고 빛도 그냥 통과합니다. 단지 중력만 있는 이 물질을 과학자들은 ‘암흑물질’이라 부릅니다. 우주의 탄생과 진화를 설명할 때도 등장하는 이 물질의 정체는 무엇일까요? 우주는 보이지 않는 유령이 지배하는 걸까요?
지금 당신 옆에 어떤 존재가 다가와 있다고 해보자. 전혀 보이지 않고 만져지지도 않는다. 하지만 분명 강력한 존재감을 과시한다. 옷이나 머리카락이 그쪽으로 쏠리기 때문이다. 하지만 다시 고개를 돌려봐도 여전히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우리는 이런 현상을 설명하는 단어를 하나 알고 있다. 유령이다. 하지만 초자연적 현상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는 게 아니므로 유령은 답이 아니다. 놀랍게도 답은 우주에 있으며, 유령과 달리 과학적으로 매우 정교하게 설명할 수 있다.
우리 은하를 예로 들어보자. 빛의 속도로 10만년을 달려야 끝에서 끝에 다다를 수 있는, 납작하고 둥근 계란 프라이 형태를 하고 있다. 가운데에는 비교적 도톰한, 계란 프라이로 치면 노른자에 해당하는 부분도 있다. 우리 은하는 태양을 비롯한 1000억개 이상의 별과 거기에 딸린 행성, 위성, 기타 소천체와 가스로 이뤄져 있다. 가장 가까운 은하는 빛의 속도로 250만년 가야 도달하는 안드로메다은하이며, 두 은하는 서로를 향해 맹렬히 다가가 약 40억년 뒤에는 충돌할 예정이다. 여기까지가 잘 알려진 은하의 모습이다.
눈에 보이지 않는 ‘초밀집 왜소은하’
그런데 우리 은하의 모습이 최근 많이 변하고 있다. 우선, 주변에 보이지 않는 ‘유령’을 여럿 거느리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원래 은하 주변에는 크기가 작은 은하인 왜소은하가 있다. 대표적인 예가 천체사진가들의 단골 촬영 대상인 대마젤란은하와 소마젤란은하다. 우리 은하 주위에는 이런 왜소은하가 20~30개 있다. 그런데 이런 왜소은하 중에, 마치 유령처럼 눈에 거의 보이지 않는 은하가 있다. ‘초밀집 왜소은하’(ultracompact dwarf galaxy)라고 불리는 이들은 대부분 크기가 우리 은하의 1만분의 1 이하로 아주 작고 어둡다. 흥미로운 것은 성분인데, 별이 별로 없는 대신 관측이 불가능한 불가사의한 물질로 내부가 꽉 차 있다.
이 물질은 인류가 지금까지 지구와 우주에서 접해온 어떤 물질과도 성질이 다르다. 물질과는 섞이지 않고, 만나도 소 닭 보듯 스쳐 지나간다. 둘 사이에는 어떤 ‘케미’(화학반응)도 없다. 보이지도 않는다. 과학자들은 이 미지의 물질에 은유적으로 ‘암흑물질’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사실 암흑물질이라는 말은 오해의 소지가 있다. 암흑이라는 말은 어둡거나 검다는 뜻이다. 어둡거나 검은 물질은 대부분 빛을 잔뜩 흡수한다. 빛을 반사하지 않으니 어둡고, 눈에도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밀집된 왜소은하를 메우고 있는 미지의 물질은 이런 성질이 없다. 흡수나 반사는커녕 마치 투명인간처럼(혹은 유령처럼) 빛을 그냥 통과시킨다. 한마디로, 빛을 완전히 무시한다(중력에 의한 효과로 빛이 휘긴 하지만 그건 물질과 빛 사이의 반응이 아니므로 논외로 하자).
더 놀라운 사실은, 우리가 아는 우주의 어떤 물질과 만나도 거의 아무런 일이 벌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러니까 우리 주위에 암흑물질이 있어도 우리는 아무것도 느끼지 못한 채 스르륵 통과해 지나쳐 버릴 수 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암흑물질이 우리 몸을 통과해 유유히 지나가고 있을지도 모른다. 유령처럼.
우리의 머리로 도통 이해가 가지 않는 이 미지의 물질에 놀랐다면, 놀라움의 규모를 좀더 키워보자. 암흑물질은 은하의 뒤꼍이나 조그마한 ‘미니’ 은하의 그늘에 숨어 있는 미약한 존재가 아니다. 오히려 거대한 은하의 주인일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우리 은하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성분 역시 우리가 볼 수 있는 물질이 아니라 암흑물질이다. 별, 가스 등을 다 합친 것보다 대략 10배 정도 많은 암흑물질이 우리 은하를 가득 메우고 있기 때문이다(초밀집 왜소은하는 이 비율이 대략 100배 이상으로 월등히 높다). 이 암흑물질 덩어리를 ‘암흑물질 헤일로’라고 부르는데, 우리 눈에 보이는 은하 속 별과 가스는 그 속에 콕 박힌, 마치 단팥빵에 든 단팥 같은 존재다. 우리는 지금까지 단팥 부분만 보고 그게 빵(은하)의 전체인 것으로 착각했던 것이다.
단팥빵 모양의 은하가 만들어진 과정에 대해, 천체물리학자들은 이렇게 설명한다. 먼저 우주에 거대한 암흑물질 덩어리가 모였다. 암흑물질은 중력이 강하기 때문에 서로 잘 뭉친다. 일단 뭉치고 나면 중력은 더 강해지고, 별과 가스 등 우리가 아는 일반적인 물질이 그곳으로 모인다. 이것은 움푹 파인 땅에 빗물이 흘러들어와 고이는 현상에 비유할 수 있다. 강한 중력을 내는 암흑물질이 몰려 있으니 우주에 일종의 ‘중력의 구덩이’가 만들어졌고, 거기로 물질이 흘러들어와 고인 것이다.
우리 은하 주변엔 ‘유령’이 여럿유령은 물질과 반응 않는 암흑
보이지도, 섞이지도 않는다
암흑물질 모여 만든 구덩이로
별 같은 물질 모여 우주를 형성 암흑물질은 존재 자체가 가설
도입 안해도 된다는 이도 있지만
많은 관측·이론이 지지한다
암흑물질은 물질의 5배 이상
보이지 않는 세상, 존재할까? 그러나 아직 정체를 모른다고?
|
미국의 천문학자 베라 루빈(1928~). 은하의 회전 속도에 관한 연구로 ‘암흑물질’의 이론적 바탕을 만들었다. 카네기연구소 제공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