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상훈 프로야구 엘지(LG) 트윈스 코치는 “코칭은 선수를 만드는 게 아니라 선수와 같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상훈 코치가 4일 오후 경기도 이천 엘지 트윈스 챔피언스파크 기념관에서 <한겨레>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이천/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
[토요판] 김양희의 야구광
코치 이상훈
대구 호텔방 공기는 무거웠다. 묵묵히 짐을 챙겼다. 8회까지는 하루 더 있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9회가 ‘내일’을 지웠다. 잔인하고 긴 밤. 대충 짐 정리가 끝난 뒤 밖으로 나가기 전 전화기를 들었다. “여보세요.” 전화기 너머로 불과 몇 시간 전, 그에게서 동점 홈런을 뽑아낸 이의 목소리가 들렸다. “승엽아, 잘 쳤다. 축하한다.”
과연 누가 자신에게 비수를 꽂은 상대에게 축하 전화를 할 수 있을까. 어쩌면 ‘풍운의 야생마’라서 가능했을지도 모른다. 그는 2002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6차전 9-6으로 앞선 9회말 1사 1·2루에서 이승엽(삼성)에게 동점 3점 홈런을 두들겨 맞았다. 이승엽에 이어 마해영이 엘지 바뀐 투수 최원호를 상대로 솔로포를 터뜨리며 한국시리즈는 그대로 삼성의 우승으로 끝이 났다. 엘지(LG)가 이겼다면 3승3패 동률인 가운데 마지막 7차전을 치를 수 있었다. 지금은 엘지 피칭아카데미 초대 원장이 된 이상훈(45)은 말한다. “당시 내가 해야 할 것, 할 수 있는 것은 다 했고 그 이상의 능력치는 나한테 없다고 생각했다. 패자는 말이 없다고 하지만 그때 나나 팀은 진짜 최선을 다한 진정한 패자였다.”
유일했던 토종 좌완 선발 20승 투수
이상훈의 현역 시절, 야구팬들은 그에게서 ‘다르지만 같은’ 모습을 봤다. 긴 갈기머리를 휘날리며 마운드로 뛰어나갈 때는 결코 길들여질 수 없는 ‘야생마’를 떠올렸고, 일본프로야구, 미국 마이너리그를 누비고 복귀한 다음 다른 팀으로 트레이드를 당한 뒤 갑자기 은퇴를 선언했을 때는 ‘풍운아’를 마음속에 그렸다. 은퇴 뒤 홍대 클럽에서 기타를 연주하며 노래를 부르던 로커의 모습은 야생마나 풍운아의 연장선상에 있었다. 그가 야구 지도자의 길로 들어섰을 때 적지 않은 사람들이 놀랐던 이유다. “주변 의식을 안 하고”(엘지 은퇴 선수), “조직 안에 녹아들기 힘든 강한 성격을 가진”(모 구단 코치) 자유로운 영혼의 소유자인 그가, 많은 인내심을 요구하는 지도자로 과연 성장할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이 있었다. 그러나 그는 사회인야구, 여자야구, 그리고 중·고등학교 인스트럭터를 거쳐 2012년 독립야구단 고양 원더스 투수코치가 됐고 두산 베어스 2군 투수코치에 이어 작년 말 친정팀 엘지로 돌아왔다. 2004년 에스케이 와이번스로 트레이드되고 시즌 중반 은퇴를 선언한 뒤 12년 만의 귀환이다. 어린 선수들의 스승이 된 ‘야생마’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
‘왓’ 밴드의 로커로 활약하던 모습(2005). <한겨레> 자료사진
|
|
엘지 투수 시절(1993~97). <한겨레> 자료사진
|
|
주니치 드래건스 입단(98~99). <한겨레> 자료사진
|
일본·미국을 누비던 풍운아
홍대 클럽에서 기타 치던 로커
사회인야구·여자야구 등 거치고
지금은 엘지피칭아카데미 원장 야구란 공 갖고 잘 노는 것,
코칭이란 선수가 공을 갖고
잘 놀게 해주는 것이란다
예전보다 둥글둥글해진 그는
원석 갈아 바위 만들려 한다 “야구는 연극 같은 행위예술” 김성근 한화 감독이 기억하는 이상훈도 다르지 않다. 김 감독은 이상훈을 “자기 원칙을 갖고 사는 아이(김 감독은 모든 선수를 ‘아이’라고 부른다)”라고 표현한다. 김 감독과 이상훈의 인연은 김 감독이 오비 베어스(현 두산 베어스) 감독이고 이상훈이 서울고 2학년이었을 때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당시 이상훈은 아마추어 신분으로 오비의 겨울훈련에 참가하고 있었다. 그가 미국 마이너리그 생활을 청산하고 2002년 4월 국내로 돌아왔을 때 엘지 사령탑도 김성근 감독이었다. 김 감독은 “이상훈이 엘지에 처음 복귀했을 때 ‘긴 머리 하나만 봐 달라’고 했다. 아무리 힘들어도 불만이 없었고 한 번 약속한 것은 절대 어기지 않았다”고 복기했다. 김 감독에게 이상훈은 “미안할 정도로 열심히 던지는” 마무리투수이기도 했다. 당시 투수코치였던 양상문 현 엘지 감독 또한 같은 말을 한다. “감독이나 코치 입장에서 이상훈은 편한 선수였다. 2~3경기 연투해서 피곤하다고 느낄 때도 있을 텐데 ‘괜찮냐’고 물어보면 늘 ‘피곤하냐고 묻지 마시고 저는 준비해서 던지라고 말하면 던지고, 하루 쉬라고 하면 쉬고 던집니다’라고 답했다.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이나 책임은 충실하게 이행하는 친구였다.” 팀 후배들이 기억하는 이상훈은 “자신의 투구에 변명이나 핑계를 대지 않고 팀플레이를 제일 먼저 강조하는 선배”였다. 이상훈은 2003년 엘지 창단 최초로 투수 신분으로 팀 주장이 되기도 했다. 한 엘지 은퇴 선수는 “팀이 지고 있는데 더그아웃이나 그라운드에서 선수들이 안 좋은 행동을 보였을 때는 경기 뒤 라커룸에 집합시켜 단체 기합을 주기도 했다”고 과거를 떠올렸다. “저돌적이고 즉흥적인 면 때문에 윗사람들하고 충돌은 잦았으나 팀 동료 선수들을 위해서는 발 벗고 나서는 선배”이기도 했다. 메리트 문제로 프런트와 선수단이 대립각을 세웠을 때는 “시상식 및 인터뷰 거부”라는 초강수를 꺼내들었다. 스포츠용품 업체와 후원 문제로 부딪혔을 때는 2군 선수들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기도 했다.
|
지난 4일 김양희 기자와 인터뷰하는 이상훈 코치. 이천/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
|
김양희 기자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