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7.19 18:31 수정 : 2006.07.19 18:31

장춘용 사회복지법인 굿네이버스 대북협력부장

기고

최근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계기로 남북 사이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일본, 미국, 중국, 러시아 등 한반도 주변국들은 북한에 경고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을 통과시키는 등 강도 높은 압박 절차를 진행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그 대응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이런 긴장이 있을 때마다 대북 지원 사업은 퍼주기 논란, 상호주의적 문제 제기, 경제지원과 대북 제재조처의 연계 주장 등 다양한 시비가 엇갈리면서 논란에 휩싸이곤 했다. 뿐만 아니라 대북 제재조처의 일환으로 인도적 대북지원 사업에 대한 제재도 도마에 오르고 있어, 비정부기구(엔지오)에서 인도적 지원 사업의 실무를 맡고 있는 당사자로서 안타깝기 그지없다.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은 그 어떤 정치적 상황이나 종교적 신념이나 사상적 이념을 초월하여 인류애를 바탕으로 진행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이 벌써 10여년의 세월을 지나오면서 남과 북의 상대방에 대한 시각과 태도에도 많은 변화를 유도해 온 것이 사실이다. 여러 정치적 상황들이 정국을 경색되게 하여도 꾸준히 인도적 지원 사업을 수행함으로써 북한 주민들의 생존권 확보를 도모할 수 있었으며 남과 북의 평화공존의 길을 모색하는 한 방향을 제시하는 구실도 했다고 본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대북 지원에 대한 ‘분배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민족화해협력협의회(민화협)가 지원 물품을 지정 장소로 직접 운반하며, 인도적 지원 사업을 책임지고 있는 실무자들은 많게는 한 달에 서너 차례 이상 현장방문을 통해 확인작업을 꾸준히 해오고 있다. 지원 물품도 의료기기와 의약품, 분유, 농사용품 등 주민 생존에 필수적인 것들이며 현금지원은 원칙적으로 금지돼 있다.

대북 인도적 지원 사업이 북쪽의 정치적 변화까지 이끌어 내지는 못한다 하더라도 최소한 북한 주민들의 삶의 형태를 변화시키고 있으며 그 속도는 시간을 더해 갈수록 더욱 빠르게 진행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런 변화가 향후 통일에 중요한 구실을 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도 하게 된다. 그러므로 한반도의 대립과 긴장을 평화와 안정으로 바꾸고 평화적 통일을 이루기 위해서도 인도적 지원 사업은 반드시 계속돼야 한다. 인도적 지원사업을 통해서 수많은 사람들이 왕래를 계속해오고 있다. 그러한 왕래는 서로에게 각인된 냉전시대적 선입견을 제거하고 상대의 실체를 조금씩 인정하는 기회가 되고 있다.

정치적 통일은 어느 시기에 어떤 식으로 이루어질지 알 수 없다. 그러나 한반도가 다시는 전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들지 않고 남과 북이 평화적으로 공존하는 틀을 만들려면 오해와 불신을 해소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남과 북이 갈라져 대립한 채 60여년의 세월을 지내오면서 서로 쌓인 오해와 불신의 벽이 얼마나 높은지 우리는 현장에서 많은 체험을 통하여 뼈저리게 느끼고 있다. 그 벽을 허물어 나가는 것이 인도적 지원 사업의 뼈대라고 할 수 있다.

우리 후손들에게 이 뼈아픈 역사의 질곡을 물려주지 않기 위해서라도 우리 시대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평화통일의 기초석을 놓아야 한다. 대북 인도적 지원 사업이 어떤 상황에서도 방해받지 않고 꾸준히 이어져 그 주춧돌이 되기를 간절히 기대한다.

장춘용 사회복지법인 굿네이버스 대북협력부장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기고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