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오스 루앙프라방의 쾅시폭포. 김은형 기자
|
[매거진 esc] 2015년 여행 키워드-가족, 학습, 소도시, 수상레저, 황금연휴
여행자들에게 2015년은 어떤 해가 될까. 먼저 한국관광공사가 지난 11월 한국갤럽에 의뢰해 성인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5년 해외여행 트렌드 조사’를 보자.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84.6%가 외국여행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20대 여성 중에는 홍콩·마카오 및 대만을 가고 싶은 여행지로 꼽은 이들이 많았고, 40대 이상 남성은 중국 및 베트남 여행을 계획하는 이들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여행 형태는 ‘개별 자유여행’(36.3%)이 가장 많았고, ‘전체 패키지 여행’(28.4%), ‘에어텔 여행’(23.8%)이 뒤를 이었다. 안전 문제를 이유로 여행을 보류한 국가로는 필리핀(26.1%), 일본(25.8%), 타이(21.5%) 등이 꼽혔다.
한국관광공사의 해외여행 트렌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여행을 일로 삼아 먹고사는 여행작가들과 여행업계 관계자들의 의견을 모아, 2015년에 주목할 만한 다섯 가지 화두를 골랐다. 여행 때 염두에 두면 도움이 될 키워드들이다.
가족여행
‘세월호’ 이후 전 국민의 가슴에 뜨겁게 와닿은 단어가 ‘가족’이다. 세월호의 아픔은 가족의 소중함을 새삼 되새기게 해주었다. 가족에 대한 관심은 여행 흐름에도 반영될 것이란 전망이 많다. 하나투어 정기윤 홍보팀장은 “9·11 테러 이후 미국에선 가족과 함께하는 여행이 눈에 띄게 늘었다는 조사 결과가 있었다”며 “우리나라도 당분간 개인 여행보다는 가족단위 여행이 더 관심을 끌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가족과 함께 맺힌 단어가 ‘현재’와 ‘안전’이다. 불확실한 미래의 여행을 계획하기보다, ‘현재’ ‘가족’과 함께 ‘안전’한 여행을 계획하는 이들이 늘 것이란 전망이다. 이에 따라 여행 전, 안전 문제를 꼼꼼히 챙겨보거나, 크게 염두에 두지 않던 여행자보험에 가입하는 이들도 늘 것으로 보인다. 한국관광공사가 2014년 조사한 ‘국내외 사건·사고가 해외여행에 미친 영향’ 설문 결과를 보면 “일본 방사능 유출 확산 이후 일본 여행 의향이 낮아짐”(73.5%), “에볼라 확산 이후 해외여행 의향이 낮아짐”(66.1%), “세월호 침몰사고 이후 선박 이용 해외여행 의향이 낮아짐”(54.5%) 등으로 나타나, 국민의 안전에 대한 인식이 고조돼 있음을 드러냈다.
|
경남 남해 해바리마을 가족여행. 이병학 기자
|
패키지 상품까지 확대
외국에서나 하던
서핑, 스노클링 국내로 확산 소도시 여행 대도시 위주의 패키지 여행 대신, 원하는 곳을 자유롭게 둘러보는 개별여행자들이 꾸준히 늘고 있다. 이 중에서도 인파가 붐비는 유명 관광지를 벗어나 덜 알려진 소도시나 두메(오지)마을 등을 찾아 떠나는 여행이 국내외 여행을 막론하고 관심을 끌고 있다. 젊은층을 중심으로, 남들 다 가는 이름난 경관이나 도시가 아닌, 소박하지만 자신만의 관심거리를 중시하는 개성적 여행자들이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다. 특히 덜 알려졌으면서도, 구석구석 역사·문화 유적이 풍부한 유럽의 작은 도시들을 여행하려는 젊은층이 늘고 있다. 지금까지 소도시 여행은 자유일정으로 떠나는 행태가 일반적이었지만 이러한 여행인구가 늘어나면서 여행사들에서도 라오스 방비엔·베트남 호이안 등 동남아나, 일본과 유럽의 소도시와 두메마을 등 패키지 여행상품들을 잇따라 선보이고 있다.
|
강원도 양양 기사문해변 서핑. 이병학 기자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