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완종 리스트
|
[더(The) 친절한 기자들]
권력형 비리 때마다 야당이 특검 실시에 앞장서왔는데 이례적
“지금 상황에서 특검 거론하면 논란만 무성하다 시간 다 보내”
‘초대형 이슈’를 총선 국면까지 길게 끌고가겠다는 계산도…
여야가 뒤바뀐 형국입니다. 새누리당 안에서조차 ‘성완종 리스트’ 사건에 특검을 도입해야 목소리가 잇따라 터져나오는데, 새정치민주연합 지도부는 어찌된 일인지 특검에 회의적입니다. 검찰 수사를 지켜본 뒤 특검 실시 여부를 결정해도 늦지 않다는 겁니다. 권력형 비리 사건이 불거질 때마다 야당이 앞장서 특검 실시를 압박하고, 여당은 버티던 지금까지의 선례에 견줘보면 매우 이례적인 상황인 것만은 분명합니다.
이런 새정치연합의 태도를 두고 정치권 안팎에선 ‘야당도 깨끗하다는 자신감이 없는 것 아니냐’는 추측까지 나돕니다. 성 전 회장이 여야를 가리지 않고 후원을 해왔다는 사실도 이런 추론에 힘을 더해주는 듯합니다. 하지만 새정치연합은 ‘억측과 비판에는 개의치 않겠다’는 입장입니다. 왜 그럴까요?
문재인 새정치연합 대표는 14일 광주 서구을 보궐선거 지원을 위해 광주를 방문한 자리에서 “검찰이 못 미더우면 특검을 해야 하는데, 특검을 한다고 진실이 규명되겠느냐”며 ‘특검 회의론’을 폈습니다. 문 대표는 전날 경기 성남 중원 보궐선거에 출마한 정환석 후보 사무소 개소식에서는 “검찰이 진실을 제대로 밝히지 못할 경우 국민들이 특검을 요구하게 될 것”이라며 ‘선 검찰 수사, 후 특검 실시’ 입장을 내비치기도 했습니다. 같은 당 소속인 이상민 국회 법제사법위원장도 이날 라디오에 나와 “지금 단계에서 특검을 거론하면 자칫 정치적 논란만 무성해지고, 실제 특검이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도 높다. 일단 검찰이 수사를 하고, 국민들이 미진했다고 판단하면 특검을 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왼쪽)가 1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확대당직자회의에서 우윤근 원내대표와 이야기하고 있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