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한용 정치부 선임기자
|
그런데 한 대표는 “전략공천을 최소화하고 완전국민경선으로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주겠다”고 했다. “국민들은 정치의식이 높기 때문에 시대적 흐름에 맞는 경쟁력 있는 후보를 뽑아 올릴 것”이라고 했다. 그럴까? 그게 해답일까? 완전국민경선제는 장점도 있지만 인지도가 떨어지는 신인들이 전·현직 의원들의 벽을 넘어서기 어렵다는 치명적 약점이 있다. 따라서 당 지도부의 손에 피를 묻히지 않고 기존 정치인들의 기득권을 지켜주려는 ‘꼼수’라고 비판받을 수 있다. 국민들에게 권한과 동시에 결과에 대한 책임까지 떠넘기는 것은 비겁한 일이다.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는 16일 현역 의원 25%를 물갈이하겠다는 공천 방침을 발표했다. 한나라당과 민주통합당 어느 쪽이 더 개혁적인 공천을 할 수 있을지 아직은 알 수 없다. 다만 민주통합당 쪽에 좀더 치열한 고민과 치밀한 기획이 필요해 보인다. 둘째, 구체적인 실현 방안이다. 경제 민주화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표현을 빌리면, ‘서생적 문제의식’만으로 안 된다. ‘상인적 현실감각’이 반드시 필요하다. 사회디자인연구소 김대호 소장이 <2013년 이후-희망 코리아 가는 길>이라는 책을 냈다. 김 소장은 ‘정리해고와 비정규직 없는 세상’이라는 비전을 ‘타도해야 할 앙시앵 레짐’으로 규정했다. ‘정리해고가 돼도, 비정규직이 돼도 괜찮은 세상’이 현실적이라는 것이다. 그는 자본과 노동 간 분배구조 개선도 필요하지만, 자본 간 재분배, 노동 간 분배도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하긴 그렇다. 민주통합당 사람들의 최근 주장에는 의심스런 대목이 너무 많다. 민주통합당이 집권하면 정말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폐기할 수 있을까? 기업은 정리해고를 못 하게 되는 것일까? 정치적 구호를 실제 정책으로 만들었을 때 나타나는 엄청난 부작용은 도대체 어떻게 하겠다는 것일까? 의문이 끊이지 않는다. 민주통합당은 지금부터 구체적인 숫자가 포함된 법안과 정책을 줄줄이 내놓아야 한다. 그걸 보고 재집권의 자격을 국민들이 판단하게 될 것이다. ‘신자유주의 반대’, ‘이명박 반대’라는 정치적 구호만으로 집권을 시도해선 안 된다. 심하게 얘기하면 그건 사기다. 성한용 정치부 선임기자 shy99@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