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1월28일 전주명 ‘통일을 준비하는 탈북자협회’ 회장(왼쪽 셋째)과 회원 등이 서울 청량리 밥퍼나눔본부를 방문해 결식 이웃들을 위해 따뜻한 밥 한끼를 대접하는 시간을 가졌다. 전 회장은 ‘사회적 정착’과 ‘경제적 정착’을 위해 정부가 탈북자 채용 문제에서부터 솔선해줄 것을 촉구하고 있다. 통일을 준비하는 탈북자협회 제공
|
중국산 광물 수입해 자립
2015년부터 협회 이끌어
지난 대선 문재인 후보 지지 “탈북자들 경제적 정착 넘어
이젠 사회·정치적 정착을” 전 회장은 평성공업대를 졸업하고 국가계획위원회 평안남도위원회 등에서 일하다 2004년 무산에서 두만강을 넘어 탈북했다. 중국과 베트남을 거쳐 남한에 들어온 그는 2006년부터 탈북민들과 함께 <정착인신문>을 창간해 4년간 운영했다. 이때 탈북자들이 남한 정착 과정에서 겪는 갖가지 힘든 사정들을 많이 알게 됐다고 한다. 그 뒤 중국에서 광물을 수입하는 사업 등으로 자립한 뒤, 전체 탈북인들의 정착 등에 보탬이 되는 일을 하기 위해 협회 회장직을 맡았다. 그는 취임 이후 취업 등과 함께 ‘탈북민들의 사회참여와 정치참여’를 강조해오고 있다. 이제 탈북민들도 ‘경제적 정착’을 넘어 ‘사회·정치적 정착’이 필요한 시기라고 봐서다. 문재인 대선 후보 지지 활동에 나선 것도 이런 ‘사회·정치적 정착’ 활동의 하나인 셈이다. 현 정부 출범 이후에도 각종 세미나 등을 통해 탈북자들의 경제·사회적 정착을 강조하는 목소리를 내왔다. “(경제적 정착은) 무엇보다 정부가 솔선수범해 탈북민 채용을 늘리는 게 중요합니다.” 정부 중에서도 “하나재단과 이북5도청을 비롯한 북한 관련 정부 산하 기관들이 모범적으로 북한이탈주민들에게 참여 기회를 줬으면 한다”고 말한다. “전국 23곳에 있는 북한이탈주민 지역적응센터인 하나센터의 경우 탈북민들이 한명도 없는 곳도 있어요. 현재 하나재단에서 센터에 파견 보낸 사람들 중 탈북민들은 15명 정도밖에 안 되기 때문이죠.” 이 결과 이명박 정부 때인 2010년 탈북민 지원을 위해 만든 하나재단 등이 탈북민들과 겉도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4년에는 ‘탈북자 지원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등의 이유로 탈북자단체들의 시위가 통일부와 하나재단 앞에서 잇따라 열리기도 했다. 전 회장은 현 정부에서는 하나재단 운영 등도 이런 문제점에서 벗어나 내실화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한다. “지난 10월22일 열린 대통령기 ‘이북도민 체육대회’에 참석한 문 대통령이 연설 중 ‘이제 이북도민도, 탈북주민도, 기업인도, 노동자도, 우리 모두는 대한민국의 국민’이라고 말씀하시는 등 탈북민을 세차례나 언급하셨습니다.” 그의 말마따나 변화의 조짐이 없는 것은 아니다. ‘탈북민 없는 탈북민 지원재단’이라는 소리를 듣던 하나재단은 이미 올해 초 직원의 20%를 탈북자로 뽑겠다고 밝혔다. 이런 조짐들이 문재인 정부에서 탈북민들의 ‘경제적 정착’과 ‘사회적 정착’에 도움을 주는 방향으로 열매를 맺을지 주목되는 시점이다. 김보근 선임기자 tree21@hani.co.kr, 사진 통일을 준비하는 탈북자협회 제공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