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성헌 새마을운동중앙회장은 회장이 되기 전에는 새마을운동은 폐기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하지 않았느냐는 질문에 “비판적이었지만 폐기론자는 아니었다”고 답했다. “디제이 정부 들어서 큰 단체에 대한 운영비 보조는 없어졌어요. 사업비 보조만 받습니다. 중앙회도 지난해 100억 이상 되는 운영비 가운데 24억 원을 빛을 내 썼더군요.”
|
70년대 농민운동 거쳐 민주화 앞장
지난 10년 디엠제트 평화생명동산 일궈 ‘현장·공동체 경험 풍부한 적격자’
시민사회·행안부 장관 강권에 ‘수락’
“중앙회장 권한 줄이고 협력자 자임” 그가 생각하는 새마을운동의 방향이 궁금했다. “운동이란 그 시대의 절실한 문제 해결 노력이죠. (새마을운동이 출발한) 70년대는 절대빈곤에서 벗어나기였죠. 지금은 생태계가 위기입니다. 4월에 한 번 피던 개나리가 지금은 10월에 한 번 더 핍니다. 토종벌 97%가 죽었답니다. 생명의 연결고리가 끊어지만 인간도 갑니다.” 그는 “인간이 노력해도 안 되는 임계점까지 다다른 것은 아니다”라며 아직 늦지 않았다고 했다. “노력하면 살릴 수 있다는 걸 제가 경험으로 확인했죠. 인제에서 유기농 생태농업에 힘을 쏟으니 3년 만에 반딧불이 보였어요.” 그는 90년대 우리밀 살리기 운동도 주도했다. 실행 방안 중 하나로 ‘화석 연료 덜 쓰기 운동’을 제시했다. “농사와 태양광 발전을 함께 하려면 농지가 700평은 되어야 하더군요. 농민들이 농지를 활용해 태양광 발전을 하도록 교육할 계획입니다.” ‘전기 덜 쓰기 운동’이나 ‘유기농법 확대’ 등도 마찬가지다. “유기농 사업은 한살림이나 아이쿱 협동조합이 잘하고 있죠. 이들과 협조할 겁니다.” 중앙회 자료를 보니, 지난해 5월 현재 새마을 지도자는 18만, 회원은 189만을 넘는다. 시·군·구 새마을회(지회) 외에 새마을부녀회·새마을문고·새마을금고 등 5개 회원단체가 있다. 구상을 어떻게 실행할지 물었다. “중앙회에 와보니 그동안 (직원들이) 자유롭게 발언할 분위기가 아니었어요. 자유롭게 이야기하는 게 중요해요. 운동의 주인공은 현장지도자와 중앙회 시·군·구 직원들입니다. 이들이 한 덩어리가 되면 성공하죠. 회장은 조정 혹은 협력자가 돼야죠. 직원들과 자유롭게 이야기한 뒤 ‘당신들이 하라’고 말합니다.” 박근혜 정부는 새마을운동의 국외 전파에 적극적이었다. ‘새마을운동 세계화 공적개발(ODA)’ 사업을 통해 저개발국 원조를 했다. “새마을운동의 글로벌 전파는 좋아요. 하지만 문제도 있어요. 원조는 그 나라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바탕에 깔려야 해요. 사업도 그들이 주도하도록 해야 합니다. 전쟁 뒤 우리가 미국에서 최대 원조를 받았지만 기억은 오히려 네덜란드, 스웨덴, 독일이 남아요. 이 나라들은 농민운동이나 소비자협동조합운동, 산림녹화운동에서 우리를 도왔어요. 돈이라는 수단과 궁극 목표를 혼동해선 안 됩니다. 전통문화를 경시하고 속도 위주로 추진해 공동체가 느슨해지거나 해체된 (새마을운동의) 부작용도 함께 얘기해야 합니다.” 인터뷰 말미에 그는 ‘치유형 적폐청산’이란 말을 꺼냈다. “우리 사회가 큰 병에 걸렸어요. ‘3대 병’입니다. 60년대부터 압축적으로 잘 살아 보자고 노력했죠. 3대쯤 지나니 먹고살 만은 합니다. 그런데 젊은이들이 큰 뜻을 갖지 못하고 개별화됩니다. 서로 이야기도 하지 않아요. 정치권이나 교수들도 눈치만 보죠. 좀 더 근본적이고 종합적으로 접근해야죠. 정치와 교육을 뜯어고치는 게 기본이겠죠. 나 스스로는 교육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교육이 ‘나는 누구인가’도 가르쳐야 해요. 사회적이면서 우주론적 존재인 나에 대해서요.” 글·사진 강성만 선임기자 sungman@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