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 쓰는 요리사’ 박찬일씨.
|
‘밥장사의 신’ 소개 두번째 책
“서울지역 노포 100곳 미만”
‘50년 종업원’ 있는 식당에 감동
창업 멘토로 식당운영 지도도 - 박찬일식 노포 선정 기준이 있나? 일제 강점기엔 일본의 조미료 회사 아지노모토가 한반도의 판매 전진기지로 냉면집을 선택했을 정도로 많았다. 냉면 협회가 있을 정도였다. 이제 거의 없다. 그만큼 노포가 적다. 고르는 데 힘들었을 것 같다. “최소 1980년대 이전에 문을 연 곳을 선택한다. 훌륭해야 한다. 1980년대 생긴 을지면옥이 냉면집 노포다. 일본은 500년 넘는 식당이 많다. 한국전쟁 등의 영향 때문에 우리에겐 노포가 적지만 한편으로는 문화의 차이도 있는 것 같다. 오래된 것에 대한 애정이 적다. 거기엔 노포도 포함된다. 그리고 밥 팔아 먹고사는 이를 천하게 여기는 경향도 있다. 자식에게 물려 줄 생각 안 한다. 그러니 사라지는 거다.” - 노포 중에 인상에 남는 곳은? 이유는? “다 뭉클했다. 주름이 가득한 단골들도 감동이었다. 조선옥이나 우래옥엔 80살이 넘은 직원도 있다. 40~50년 넘게 종업원으로 일한 이가 있는 노포는 감동이었다. 노포에겐 공통점이 있다. 다들 한결같고 겸손하다. 거래처를 오래 유지한다. 식재료의 가격을 깎지 않는다.” - 최근 식당 주인 중엔 최저임금 인상으로 타격이 크다는 이가 있다. “이윤이 줄거나 적자가 날 거다. 임금이 올라갔다고 사람들이 식당을 더 많이 찾진 않을 거다. 종업원을 줄이고 기계나 반조리 식품을 쓰는 이도 봤다. 나는 식당의 이윤이 줄어도 최저임금은 올려야 한다는 주의다. 이상과 현실의 괴리다. 어떻게 흘러가나 지켜봐야 할 것 같다.” - 제주올레의 청년 창업 프로젝트는 어떻게 하게 됐나? “장사하는 노하우 등을 알려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젊은 친구들은 티브이 보고 요리사의 생활이 화려하다고 오해한다. 월급은 짜고 노동 강도는 세다. 하지만 장점도 있다. 직장은 해고, 사내 정치 등을 걱정하지만 요리사는 식당이 문을 닫아도 이직이 쉽다.” - 지난 정권에서 요리사로는 유일하게 블랙리스트 명단에 올랐다. 사회적 활동을 굳이 왜 하느냐는 업계 시선도 있다. “사람마다 다른 거 아니겠는가. 365일 장인처럼 자신의 가게를 지키는 이가 있는가 하면 나처럼 글 쓰는 이도 있는 거다. 요리사라고 종일 주방에서 요리만 해야 하나?” - 계획은? “안 세운다. 닥치면 하는 편이다” “닥치면 하는” 이치곤 이뤄내는 게 많다. 지난 2월엔 중식당 ‘진진’에서 일본 나가사키현에서 초청한 짬뽕명인 하야시다 마사아키, 왕육성 중식 요리사와 ‘동아시아 짬뽕을 말하다’ 란 세미나도 열었고, 지난달 11~12일엔 일본 시마바라현의 수연소면 장인을 초청하기도 했다. “재밌잖아요”가 행사를 기획한 이유다. 글·사진 박미향 기자 mh@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