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의 임진강 하천정비사업에 맞서 임진강 지키기 시민운동 등을 펼쳐온 경기 파주환경운동연합 노현기(왼쪽) 공동의장과 정명희(오른쪽) 사무국장이 지난 5일 ‘환경의 날’에 대통령상과 국무총리상을 각각 수상했다. 사진 파주환경연합 제공
|
‘하천정비 준설사업’ 막아낸 공로로
최근 환경부 추천 ‘대통령 표창’ 받아 ‘굴포천살리기’ 계기 뒤늦게 시민운동
파괴도 복원도 건설업체 독점 ‘문제’
“우선 남북 함께 임진강 생태조사부터” 이번 6·13 지방선거에 출마한 여야의 광역·기초 단체장 후보들은 ‘서부 비무장지대(DMZ) 일대의 논을 메워 경제특구를 만들겠다’는 개발공약을 앞다퉈 내놓았다. 이런 상황에서 환경부와 한강유역환경청의 추천으로 두 사람이 포상을 받은 것이어서 그 의미가 남다르다. 노 의장은 2014년 5월부터 임진강 하천정비사업을 막기 위해 임진강지키기파주시민대책위원회를 꾸리고 앞장서 활동해왔다. 환경부는 노 의장이 2004년부터 굴포천 살리기, 계양산 골프장 저지, 임진강 하천정비사업 반대 등 지역 환경현안에 대해 민간 차원의 자발적인 환경운동을 전개해 시민의 환경의식을 높이고 생태계 보전에 기여했다고 추천 이유를 설명했다. 정 사무국장도 2010년부터 멸종위기종 서식지 보전 활동에 나서 흑두루미 독극물 피해 재발방지 활동과 문산천 층층둥굴레 보전, 운정3지구 사업구역 안 금개구리·맹꽁이 보전, 장단콩 웰빙마루 수리부엉이 서식지 보전, 공릉천 물고기 떼죽음 대응 등에 앞장서왔다. “우리나라 하천 대부분이 국가의 개발정책에 의해 망가졌고, 임진강도 여전히 위험 요소가 많은 상황입니다. 이번 대통령상 수상으로 임진강을 지키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보전·관리하는 데 중요한 정당성이 하나 더 생겼다고 생각합니다.” 노 의장은 “임진강은 전 구간 디엠제트와 민간인통제구역 철책 안을 흐르고 하류 쪽은 북한과 마주보는 중립지대로 멀리서나마 볼 수 있는 것은 3분의 1에 불과하다. 우리는 임진강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고 상상조차 할 수 없다”고 말했다. “평화와 소통의 상징으로서 임진강은 인위적 개발과 관리를 유보하고 남북 공동으로 임진강의 현재 실태를 조사하고 기록하는 작업부터 했으면 한다”고 그는 제안했다. 학창시절부터 유난히 생물을 좋아했던 그는 마흔살 무렵 인천 부평의 풀뿌리 환경단체인 ‘굴포천살리기시민모임’의 박남수 위원장으로부터 제안을 받고 환경운동에 뛰어들었다. 그는 “굴포천은 당시 복개된 상태로 생활하수와 공장오폐수가 뒤섞인 전국 최악의 오염하천이었다. 시민모임의 첫 사업으로 ‘인천하천생태학교’를 열고 굴포천 발원지와 주변 생물들을 찾아 다니면서 물 속 곤충과 반딧불이, 맹꽁이 등에 푹 빠졌다”고 했다. 그는 굴포천 살리기 활동을 통해 복원보다는 훼손을 미리 막고 망가지지 않는 곳을 지키는 쪽으로 환경운동의 방향을 정했다. “굴포천 생태하천 조성 예산이 생각보다 빨리 확보돼 1년 남짓 동안 토론을 거쳐 사업을 시작했는데 결국은 설계부터 시공까지 모두 유명 건설사들이 도맡더군요. 망가뜨린 사업도, 복원하는 사업도 모두 건설사들이 챙겨가는 것을 보고 앞으로 복원을 요구하는 환경운동은 하지 않겠다고 다짐했지요.” 박경만 선임기자 mania@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