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채원 경희대 미래문명원 교수
|
두달 뒤 선정 앞두고 열정 홍보
공공정책학회 결성에 내달 포럼도
촛불 자료 번역해 학회 누리집에
“촛불 자신감, 갑질 고발과 미투로” ‘87년 이후’ 고민하다 행정학자 길 민주화 운동의 열기가 뜨겁던 1980년대에 대학을 다닌 그는 인문학으로서의 신화학을 공부하려고 종교학과에 갔지만, 사회운동을 하며 자연스레 정치에 관심을 두게 됐다. 대통령 직선제와 제도적 민주주의를 쟁취한 ‘87년 체제’ 이후 한국 사회가 나아가야 할 길이 무엇인지 고민하다 행정학자가 되었다. 대통령에게 권한이 집중된 87년 체제를 경계하던 그가 대안으로 주목한 것은 시민의 정치 참여를 강조하는 시민적 공화주의다. 2008년 저서 <공화주의적 국정운영>의 원고를 마무리할 때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반대하는 대규모 촛불이 타올랐다. “시민들이 폭발하는 시기가 올 거라고 저는 예상했어요. 다만 그게 언제일지를 몰랐던 거죠. 2008년 촛불집회가 일어났을 때, 그 순간이 온 건가 싶어 굉장히 흥분했는데 아쉽게도 한국 사회의 변화로 이어지지는 않더라고요. 학수고대하던 움직임이 비로소 2016년 시작되었을 때 제가 얼마나 기뻤을지 상상이 되나요?” 그는 2016년 촛불집회 초기부터 광장에 나가 본인이 보고 경험한 것을 기록했다. 그 결과물이 지난해 나온 책 <시민적 공화주의>다. 그가 보기에 촛불집회는 ‘성공한 혁명’이다. “‘보수세력에서 중도세력으로 대통령이 바뀌었을 뿐인데 그게 무슨 혁명이냐’고 반론을 펴는 사람도 있어요. 과거의 혁명은 지배계급을 바꾸는 ‘수직적 변화’였지만 21세기의 혁명은 직접 민주주의가 확산하는 ‘수평적 변화’이죠. 그런 관점이면 촛불집회도 충분히 혁명이라 부를 수 있죠.” ‘87년 체제’를 이끌었던 386 세대가 이후 한국 사회의 정치, 경제, 문화를 선도했듯 2016~2017년에 촛불집회를 경험한 ‘촛불 세대’가 미래의 주역이 될 것이라고도 했다. “촛불 세대의 사고방식은 과거 세대와 다를 수밖에 없어요. 차도와 인도라는 공간의 경계를 허물었을 뿐만 아니라 대통령이라는 최고 권력을 교체해냈잖아요. 무엇이든 해낼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기는 거죠. 정치를 일부 정치인에만 맡겨 두는 게 아니라, 에스엔에스(SNS)나 다양한 공론장을 통해 ‘내가 나를 직접 대변하는 것’으로 여기는 마음가짐이 커졌다고 봐요. 촛불 이후에 갑질 고발과 미투 운동이 급물살을 탄 것도 그 이유에서라고 봅니다.” 촛불집회 뒤 1년여가 흐른 지금, 그는 한국 사회를 어떻게 평가하고 있을까? “문재인 정부가 동아시아 냉전체제를 해체했다는 점은 높게 삽니다. 아직 경제나 노동 문제에서는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했지만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어요. 노동문제는 한국 사회의 오래된 난제인 만큼 이 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사회적 합의가 필요합니다. 과거에는 전문가 몇몇이 모여 합의안을 만들어 냈지만, 촛불 이후에는 그런 방식이 통하지 않을 겁니다. 시민들이 ‘내 문제는 내가 직접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갖게 되었으니까요.” 글·사진 송진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 연구원 jysong@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