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호준 궁시장이 대나무로 만든 화살대를 숯불에 쪼인 뒤 졸대를 이용해 곧게 펴고 있다. 화살 하나 만드는 데는 1년의 시간과 100번 이상의 손길이 가야 한다.
|
[장인을 찾아서] 중요무형문화재 궁시장 박호준씨
총이 발명되기 전까지 활은 ‘최종병기’였다. 팽팽히 당긴 활시위를 떠난 화살은 포물선 궤적을 그리며 목표물을 향해 날아갔다. 활은 정밀한 미사일이었고, 치명적 무기였다. 명궁의 활은 바람을 계산하지 않고 극복했다. 가벼운 대나무 끝에 달린 무쇠 화살촉은 두려움이자 공포였다. 조선을 개국한 이성계는 어두운 밤에 화살로 쏘아 달을 가까이 끌어당겨 들판을 환하게 만들어 왜구를 물리쳤다는 전설을 낳을 정도로 활의 달인이었다. 직립보행을 하며 두 손을 자유롭게 쓰게 된 인간은 사납고 힘센 짐승을 사냥하는 데 활을 썼다. 멀리 떨어진 적을 물리치는 데 주로 쓰인 활은 이후 신호와 연락에 사용되기도 했고, 선비들의 정신수양 방법으로도 쓰였다. 폭약을 싣고 날아가기도 했고, 화공(불공격) 수단이기도 했다. 활을 잘 사용한 한민족은 동이족으로 불렸다. ‘이’(夷) 자는 풀어쓰면 ‘큰 대(大)’와 ‘활 궁(弓)’이다. ‘동쪽의 큰 활잡이’였던 것이다. 중요무형문화재 47호 궁시장(弓矢匠)인 박호준(71)은 화살을 만든다. 그의 할아버지 박희원은 조선 고종 때 무과에 합격한 무인이었다. 당시 군기감 소속 궁시장이 만든 활을 사용하던 조부는 성이 안 차 직접 화살을 만들기 시작했다. 자신의 몸과 체력에 맞게 화살을 만든 것이다. 그러길 30년, 아들 박상준(1914~2001)이 17살부터 가업을 이어받아 70년간 활을 만들었다. 화살의 명산지 장단과 가까운 원당에서 태어난 상준은 젊을 때에는 서울, 경기도, 충청도 등지로 출장을 다니며 몇 달씩 머물며 화살을 만들어 공급했다. 가을 농사가 끝나는 시점부터 이듬해 모내기 전까지 농한기가 되면 활쏘기가 크게 유행하던 시절이었다. 그는 1978년 궁시장으로 인정을 받았다. 박상준의 아들인 호준은 15살 때부터 활을 만들기 시작했다. 서울 배명고를 졸업한 뒤 본격적으로 가업에 나선 것이다. 그의 아들 주동(45)도 이미 이수자 경력 20년째이니, 4대에 걸쳐 가업을 이어가는 셈이다.
|
왕의 명령을 하달할 때 쓰던 화살인 신전(信箭)의 화살촉 화살대를 만드는 데 쓰이는 갖가지 칼(왼쪽 아래)
|
고종 때 무인 조부 직접 만들기 시작
아버지 이어 15살 때부터 가업 이어 “활쏘는 사람 체형·힘따라 맞춤 제작”
양궁만 인기 국궁도 공장제품 이용
‘장식품’ 전락 불구 아들 20년째 전수 “화살을 만드는 재료는 공장에서 나오는 것이 별로 없어요. 자연 상태에서 그때그때 구해야 합니다.” 박호준은 화살을 만들기 위해 우선 대나무(시누대)를 구하러 해변가를 헤맨다. 12월~1월 사이에 서리를 많이 맞으면 대나무의 물이 말라 대의 겉부분이 단단해진다. 산죽이나 울타리죽보다는 바닷가에서 해풍을 쐬고 태양빛을 고루 받고 자란 1~3년생 해변죽이 가장 화살대로 적당하다. 아래위가 곧고 가벼우며 형태가 변형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 대나무를 1년 이상 양달과 응달에 번갈아 말려 살을 벗긴 다음 숯불에 구워 반듯하게 편다. 화살을 제작할 때 사용하는 어교(부레풀)는 민어 부레를 이용한다. 귀한 민어 부레를 비싼 돈을 주고 사와 끓인다. 화살촉이 끼워지는 상사 자리와 활시위에 걸리는 오늬 자리는 강한 충격을 견뎌내야 하므로 쇠심줄을 감아준다. 도살장에서 구한 쇠심줄은 일일이 입으로 씹어 부드럽게 만들어 감는다. 화살을 활시위에 끼우는 오늬는 속이 단단한 싸리나무를 써야 한다. 높은 산 바위틈에서 바람을 이기고 자란 싸리나무라야 한다. 오늬는 복숭아나무 껍질(도피)로 감싸야 터지거나 습기 차는 것을 막아 오래간다. 화살대의 끝에는 꿩(장끼)의 날갯죽지에 박힌 깃을 달아 원하는 방향으로 화살이 날아가게 만든다. 화살을 만드는 중간중간에 무게를 맞추기 위해 숱한 저울질을 거쳐야 한다.
|
박호준 궁시장이 만든 화살들. 위쪽 두개는 소리를 내며 날아가는 효시. 맨 아래 화살은 과녁에 박히지 않도록 만든 도끼날형 화살이다.
|
궁시장이란 조선시대 군기감의 필수 장인
궁인·시인 나누어 특별히 우대
|
줄칼은 대나무 마디를 쓸고, 창칼은 대나무를 깎는다. 송곳처럼 뾰족한 오늬칼은 오늬 구멍을 뚫고, 상사칼은 상사를 파고 깃을 따기도 한다
|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