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유성 나무코프 회장의 2008년 산업은행 총재 취임식 장면. 산업은행은 이후 자원외교 금융 지원에 중요한 구실을 했다.
연합뉴스
|
[탐사기획] MB ‘31조 자원외교’ 대해부
④ 눈먼 돈의 비극, 정경유착
민유성(61) 나무코프(사모펀드 운용사) 회장이 한국산업은행 총재 시절 캐나다 투자금융회사인 아르시아이(RCI)캐피털을 국내 에너지 공기업에 소개해주기 전, 민 회장의 딸이 아르시아이캐피털과 고용계약을 맺었던 것으로 21일 드러났다. 또 민 회장은 산은 총재 때 1000억원대 투자협약을 맺은 사모투자펀드 운용사 티스톤에 재취업한 뒤 아르시아이캐피털과 3억달러(3260억여원) 규모의 합작펀드 조성을 추진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2008년 12월
‘Employment Agreement between RCI and Y Y Min.’ 2008년 12월8일, 아르시아이캐피털이 작성한 6쪽 분량의 고용계약서 제목이다. <한겨레>가 입수한 이 문건에 나오는 피고용자는 민아무개(33·여)씨다. 아르시아이는 당시 26살이었던 민씨에게 ‘한국 시장 애널리스트’란 명함을 줬다. 민씨는 대학·대학원에서 경제 분야를 전공한 적이 없다. 민씨의 급여는 월 3000캐나다달러(272만여원)였다. 이 문건이 불러온 ‘나비효과’가 훗날 광물자원공사의 손실로 이어질지는 당시 아무도 예측하지 못했다. 민씨는 당시 국내 최대 국책은행 총재를 맡고 있던 민유성 회장의 딸이었다.
|
딸 취업시키고 업무 협약
광물공사 끌어들여 투자 유치
‘500억 과다 지급’ 칠레 비극낳아 사모펀드 티스톤과 출자 약정하고
퇴직 뒤 그 회사 회장으로 취업도 라일리는 “민 회장은 존 박 사장을 캐나다에서 자원개발사업을 하는 유용한 창구로 봤다. 민 회장이 퇴임한 뒤 산업은행이 아르시아이캐피털과 맺은 업무협약은 끝났다”고 말했다. 그는 “아르시아이캐피털은 실체가 불분명한 회사다. 한국 방문 당시 존 박 사장은 캐나다 ‘투자은행’(IB)이라고 소개했으나 캐나다에서 단 한번도 투자은행으로 등록된 적이 없다. 자원개발 분야도 잘 모른다”고 말했다. 민 회장과 존 박 사장의 커넥션은 민 회장 퇴임 뒤 수상한 돈의 흐름과 궤적을 같이해 이어진다. 2011년 10월 2011년 10월4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장. “퇴직 후에 먹고살 자리를 미리 현직에 있을 때 만들어 놓고 회장으로 취임했는데, 도저히 용납할 수 없다. 틀림없이 이 1470억원을 넣을 때 뒷거래가 있지 않았나 보고 있다.” 배영식 당시 한나라당(현 새누리당) 의원은 민 회장의 퇴임 전후 행적을 놓고 목소리를 높였다. 배 의원 얘기를 종합하면, 민 회장은 산업은행 총재 시절 사모펀드 운용사인 티스톤과 만든 사모펀드에 산업은행 돈 1470억원을 출자하기로 약정했다. 민 회장은 2011년 3월11일 퇴임한 뒤 곧장 티스톤 회장으로 취임했다. 2012년 5월 눈여겨볼 대목은 민 회장의 ‘동선’에 아르시아이캐피털이 또다시 등장한다는 점이다. 티스톤 회장 재직 때인 2012년 5월17일 민 회장은 아르시아이캐피털과 손잡고 3억달러 규모의 합작 펀드를 조성했다. 각각 1억5000만달러(1630억여원)씩 돈을 내기로 했다. 라일리는 “민 회장이 산업은행을 떠난 뒤 티스톤을 만든 자금은 어디서 온 것인지 궁금하다. 존 박 사장은 항상 현금이 넘쳐났다”고 말했다. 민 회장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딸 취업은 존 박 사장과 개인적인 친분에서 이뤄진 것으로 대가성은 전혀 없는 일이다. 실제 딸은 한달 인턴만 하고 그만뒀다. 존 박 사장은 캐나다 자원개발에 전문성이 높은 인물로, 그의 능력을 믿고 국내 에너지 공기업이 캐나다에 진출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업무협약을 맺은 것이다. 티스톤과 아르시아이캐피털의 합작 펀드도 결국 무산됐다. 존 박 사장과 금전 거래 등도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김정필 류이근 기자 fermata@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