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5.07.15 19:28 수정 : 2015.07.16 10:23

사진 김현진 제공

[매거진 esc] 김현진의 애정동물생활

역시 고양이가 대세다. 개 팬시용품은 없어도 고양이 팬시용품은 수없이 많고, 고양이는 기분 나쁘다거나 검은 고양이는 불길하다는 말도 다 옛말이고, 이젠 아무도 도둑고양이라 안 하고 길고양이라 한다. 반려동물로 고양이를 선택하는 사람도 부쩍 늘었는데, 그들은 고양이 키운다 안 하고 ‘집사’로 모시고 산다는 이가 많다.

사실 나는 고양이가 그저 그렇다. 지금까지 쭉 개만 길렀, 아니 주웠기 때문일 수도 있고, 고양이 찬미자들이 개를 까는 게 불만스럽기도 하다. 마크 트웨인 같은 사람들, 이 살짝 삐뚤어진 고양이 찬미자들은 아무에게나 다가가서 꼬리 치고 혀로 핥아대고 손, 하면 손 주고 앉으라면 앉는 개가 미련해 보여서 싫다며 하도 고양이의 도도함과 독립심을 입에 침이 마르게 찬양해대는 통에 말 못 하는 개 대신 내가 억울해서 그만 죄 없는 고양이까지 싫었다. 어차피 주인이 주는 밥 얻어먹고 사는 거야 고양이나 개나 똑같은데, 고양이를 찬미하는 사람들 보면 사료 대주는 호구 노릇 하는 건 너나 나나 똑같은데 고양이한테 비굴하게 구는 게 그리도 즐겁냐 흥, 하며 아주 삐딱한 마음이었다.

그런데 몇년 전 새벽, 녹즙 배달을 가려고 교회를 나서는데 야옹야옹 소리가 계속 들렸다. 힘차게 야옹야옹 하는 것도 아니고 힘없이 야옹야옹 울기만 했다. 웬 고양이가 우네, 하면서 어디서 고양이가 우나 둘러봤지만 보이지도 않고 우는 소리만 들려서 그냥 배달하러 갔다. 배달을 그만두기로 한 날은 애초에 지났는데, 뒤에 구해진 여사님들이 일이 힘들다고 번번이 관둬서 요즘 기성세대들 이렇게 나약해서 문제야, 하며 이를 박박 갈던 시절이었다. 배달 갔다 오고 대학원 수업 다녀오고 도서관에 책 빌리러 나가는데 아직도 야옹야옹 소리가 들렸다. 야옹? 하고 불러보자 야아옹~ 하는 소리가 들렸는데 영 힘없는 소리였다. 지금까지 수년 동안 길에서 다친 개를 주워온 것만 해도 수십마리가 넘어서 이제 고양이까지 주워 가면 엄마가 나를 가만두지 않을 테니 제발 별 대답 말고 내 눈에 띄지 말고 있다가 무사히 네 엄마 찾아가렴, 하고 속으로 빌면서도 그냥 모른 척하자니 좀 그래서 예의상 혹은 도의상 나가봤다. 아니 그런데 이게 웬걸, 차 밑에 지난번에 장사 지내줬던 새끼쥐보다 별반 크지도 않은 새끼고양이가 웅크리고 있었다.

소리도 찌익찌익 하고 작은데다 하도 조그마하고 꼬리도 실 같아서 뭐야 이번에도 또 쥐인가? 요즘 쥐가 왜 이리 끓어, 싶어 집어들고 보니 아니 이번에는 고양이였다. 까만 줄무늬 고양이가 웅크리고 있다가 뛰어내리지도 못하고 오들오들 떨고 있었다. 내 주먹보다 조금 클까, 일단 집어든 고양이를 귀찮다고 버릴 수도 없어서 상자에 잘 넣어서 병원에 데려갔다. 좀 굶어서 그렇지 아주 건강한 상태라며 의사 선생님은 몸 이곳저곳에 난 상처 자국을 살폈다. 수고양이들은 영역 싸움을 하기 때문에 어릴 때 밟아놓자는 수컷 특유의 본능으로 아주 어린 수컷일 때 공격하는 경우가 많다며, 그런 어른 수컷들에게 해코지를 당한 자국 같다고 했다.

김현진 에세이스트, 팟캐스트 진행자
병원에서 맡아줄 수도 없으니 일단 집에 데리고 오긴 했는데, 한마리 죽고 남아 있는 나이 든 개는 이게 웬 털뭉치인가 싶어 킁킁 냄새를 맡았다. 대강 씻기고 먹이를 주자 걸신들린 듯이 먹는 고양이는 나무젓가락을 반 부러뜨려놓은 것 같은 가느다란 다리로 비칠비칠 걷지도 못하고 야옹야옹 울었다. 잘 먹이고 닦아놨더니 2주일 만에 세 배로 커졌다. 아직도 조그마한 고양이이지만 나름 씩씩해서, 좋은 가족이 생겼으면 싶어서 정 안 들려고 그냥 고양아 고양아 하고 부르고 있는데 고양아 고양아 할 때마다 마음이 짠하다. 그 고양이는 결국 이름을 얻었다. 가수 김대중씨가 키우기로 해서 내가 이건 디제이피(DJP)연합이라고 주장하며 이름을 김종필이라고 지어주었다. 고양아 고양아 부를 때 그토록 마음이 짠했던 이유는 그해 4월에 돌아가신 아버지 생각 때문이었다. 생전에 아버지는 길고양이들 밥을 꼭 챙겨주시곤 했는데, 틀림없이 이 녀석은 아버지가 돌보던 고양이의 자식이거나 조카거나 하여튼 친척이거나 뭐 그렇겠지 싶어 고양아 고양아 부를 때마다 가슴이 짠했다. 아버지가 그토록 챙겨준 밥이 새끼고양이 안에 있을 테니 아, 이렇게, 생명이란, 어떤 방식으로든 이어지는구나. 그렇구나.

김현진 에세이스트, 팟캐스트 진행자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esc : 김현진의 동물애정생활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