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을미년(乙未年) ‘양의 해’ 2015년의 태양이 밝았다. 강원도 대관령 하늘목장에 붉은 햇살이 비추자 양 한 마리가 밤새 움츠렸던 추위에서 벗어나 고개를 든다. 세월호의 아픔을 간직한 채 ‘말의 해’ 2014년은 저만치 흘러갔다. 서로서로 몸을 부대끼며 한겨울밤 추위를 이겨낸 양떼처럼 올 한 해 지역과 계층의 차이를 넘어 이웃과 함께하는, 온기를 나누는 한 해가 되기를 기원해본다. 평창/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
[광복 1945, 희망 2045] 국민 여론조사
① 빈부격차 적고 복지가 잘된 사회
② 약자도 보호받는 평등한 사회
③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사회
우리 사회가 추구해야 할 바람직한 미래상으로 ‘복지와 평등’을 꼽은 사람이 10년 전에 비해 급증한 반면, ‘경제적 풍요’를 든 사람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에 대한 불안이 깊어지는 한편으로, 사회적 연대에 대한 욕구가 강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겨레>가 광복 70년 새해를 맞아 한겨레사회정책연구소 사회조사센터에 의뢰해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벌인 특별 여론조사에서 ‘우리 사회가 앞으로 어떤 사회가 되길 바라느냐’는 질문에 가장 많은 47.3%의 응답자가 ‘빈부격차가 적고 사회보장이 잘돼 있는 사회’라고 답했다. <한겨레>는 광복 100년을 맞는 2045년을 앞두고 올해부터 남은 30년을 어떻게 준비할 것인지를 모색하기 위해 이번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10명중 8명이 ‘복지·평등’ 꼽아‘경제적 풍요’ 선택은
10년전보다 절반으로 줄어 <한겨레>가 10년 전인 2004년 5월 벌인 여론조사에서도 같은 질문에 ‘사회보장’을 꼽은 사람이 가장 많았지만 응답률은 37.3%였다. 10년 동안 10%포인트가 늘어난 셈이다. 상위 1%의 평균 소득이 전체 평균 소득의 12.97배에 이를 정도로 빈부격차가 심해지고, 계약직 증가나 퇴직연령 하향과 같은 고용불안 심화 세태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