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입 수험생 학부모들이 2013년 11월10일 서울 송파구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열린 ‘메가스터디 2014 대입 최종지원 전략설명회’에 참석해 배치표를 살펴보고 있다.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
[광복 1945, 희망 2045] 다시, 교육부터
교육갈등 접점 찾기 ①
보수층도 부정적 인식 절반 넘어
“교육은 낙오자 없도록 하는것” 67%
<한겨레>가 지난 8~9일 실시한 교육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들은 자사고·특목고의 폐해에 대해 비교적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능한 학생들은 특목고, 자사고로 몰리고 일반고는 소외되는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교육격차 심화를 야기하는 잘못된 정책의 결과’라고 답한 응답자가 65.4%에 달했다. ‘교육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불가피한 현상이다’라는 응답자는 31.0%에 그쳤다.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보수와 진보 양쪽 모두 특목고·자사고 정책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식이 많았다. 스스로 보수라고 밝힌 응답자 59.5%, 중도층 65.0%, 진보층 77.1%가 ‘잘못된 정책 결과’라고 답했다.
|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