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원희의 영화 그리고 농담
서병수 부산시장이 부산시의 이름을 빌려 이용관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의 사퇴를 권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10월 부산국제영화제에 <다이빙벨> 상영을 중지하라는 압력을 행사했으나 영화제 쪽에서 상영을 강행한 뒤 생긴 일이다. 부산시는 앞서 감사를 통해 압박을 가했고 영화제의 개혁을 추진하라는 입장을 표명하기도 했다. 한마디로 부산시가 부산국제영화제를 ‘흔들고’ 있는 모습이다. 서병수 시장과 이용관 위원장은 논란이 확산되자 27일 만나 일단 파국은 막았다. 서 시장은 “부산국제영화제가 공공자산이므로 투명하고 책임감 있게 운영돼야 한다”고 강조했고, 이 위원장은 “(시장의) 영화제 쇄신, 비전 제시 요구에 충실히 응하려 한다”고 밝혔다 한다. 이에 따라 부산시가 당장 이 위원장 사퇴를 요구하진 않을 듯 보이지만, 향후 쇄신안 내용을 빌미로 언제든 영화제를 압박할 여지는 남겨둔 셈이다. 얼핏 부산시장이 조직위원장을 겸하게 돼 있으니 시장의 이런 태도는 부당하지 않은 요구로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는 여기서 최근 한국을 들었다 놨다 하는 ‘갑질 파동’의 냄새를 맡을 수 있다. 항공사 부사장이 항공기의 이륙을 지연시켰다거나 재벌 2세가 야구방망이로 노동자를 구타했다거나 하는 유치할 정도로 치사한 사건들과 유사하다는 것이다. 가장 중요한 부분은 ‘선출직 공무원이 전문직 종사자의 인사에 개입’한다는 점이다. 전임자와 다른 정당 소속 인물이 지방자치단체의 선출직 단체장에 오른 뒤 수십년간 전문적인 업무를 해온 공무원이나 재단법인 직원을 마음대로 교체하는 일들은 다만 영화제에만 있었던 일이 아니다. 이런 행위는 해당 전문 분야에 대한 일종의 ‘문명 파괴’적인 행위다. 그런 일 때문에 자리를 잡아나가던 영화제들이 몇이나 주저앉았는지, 잘나가던 공기업이 얼마나 망해나갔는지 우리는 잘 알고 있다.
|
조원희 영화감독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