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국소년단의 녹음 모습. ‘다음 뉴스펀딩’ 화면 갈무리
|
[김선주 칼럼]
입만 열면 국가와 민족을 내세우고 애국을 전매특허인 양 부르짖는 사람들을 신용해본 적이 없다. 애국팔이가 그들의 밥벌이 수단이라는 것을 평생 보아왔기 때문이다. 포털 ‘다음’ 화면에 ‘애국소년단’이라는 단어가 맨 위에 올라와 있다. 드디어 이 정부가 히틀러유겐트 같은 소년단을 조직하여 애국몰이를 시작하는구나 싶었다. 누르고 들어가니 애국소년 1호 주진우, 2호 김제동으로 나와 있다. ‘나는 공산당이 싫어요’를 들으면서 웃음보다 눈물이 났다. 이 사회에서 뭔가 작심하고 발언을 하려면 우선 ‘나 종북 아니에요’ ‘난 공산당이 싫어요’에서 ‘김정은 개새끼’까지의 신상발언으로 서두를 떼지 않으면 안 되는 시대를 아직도 살고 있구나 싶은 처절함 때문이었다. 45년 전 아홉살의 이승복 소년이 ‘공산당이 싫어요’라고 울부짖은 탓에 공산당에 의해 가족이 살해되었다는 전설을 듣고 자란 세대들이 만든 2015년판 ‘공산당이 싫어요’는 이렇게 신파인지 블랙코미디인지 알 수 없는 자학성 애국증명 멘트로 시작되고 있었다. 아는 사람은 김제동과 주진우의 이름과 행적을 알고 있겠지만 그동안 이 두 사람이 얼마나 종북몰이에 시달려왔는지 좌절을 겪었는지 짐작이 갔다. ‘좋다 애국? 그렇다면 우리도 애국팔이다. 어디 붙어보자. 누가, 뭐가, 진짜 애국인지 정말 맞짱 한번 떠볼래?’라는 결기가 느껴졌다. 그들은 팔을 걷어붙이고 우리 사회의 최고 갑질인 애국과 종북몰이 세력을 향해 웃음을 입힌 주먹을 날리고 있었다. …… 우리는 세상을 보듯 영화를 보고 영화를 보듯 세상을 본다. 달리 말하면 영화는 보이는 세상이고, 세상은 보이지 않는 영화다…. 영화평론가 허문영이 최근에 펴낸 <보이지 않는 영화>의 머리말에 나오는 글이다. 따라서 이 책은 보이지 않는 영화인 ‘세상’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
애국소년단. ‘다음 뉴스펀딩’ 화면 갈무리
|
|
김선주 언론인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