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오전 ‘6개국 수학 교육과정 국제 비교 콘퍼런스’가 열린 서울 용산구 효창동 백범기념관 행사장 입구에 마련된 ‘수학 통곡의 벽’에 참가자들이 적어 놓은 메모지가 붙어 있다. 이정용 선임기자 lee312@hani.co.kr
|
수학 고통 줄이자 ①
유럽·미국·일본과 비교해보니
배우는 항목 많고 진도 빨라
수업시수도 국제 평균 미달
암기·주입식 문제풀이로 변질
“교과 내용 대폭 줄여야” 지적
한국의 초등·중학생이 유럽·미국·일본 등에 견줘 수학을 적은 시간에 많이 배워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같은 항목이라도 이들 나라보다 대체로 이른 시기에 배우고 있었다. 개념 이해가 중요한 수학 교육이 주입식·암기식 문제풀이로 변질되는 근본 원인으로 지목된다. ‘수포자’(수학포기자)를 줄이고 수학 교육을 정상화하려면 초·중·고 수학의 내용을 대폭 축소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교육시민단체 ‘사교육 걱정 없는 세상’(사교육걱정)은 28일 서울 용산구 백범김구기념관 대회의실에서 ‘6개국 수학 교육과정 국제 비교 콘퍼런스’를 열어 미국·일본·싱가포르·영국·독일·핀란드와 한국의 초·중학교 수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비교한 결과를 발표했다. 사교육걱정과 현직 수학 교사 33명이 2013년 11월부터 분석해온 결과다.
|
한국과 6개국 초등학교 수학 항목 비교
|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