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시내의 ‘바다이야기’ 오락실 (사진= 이정국 기자)
|
당정, ‘사행성게임장 허가제 전환’ 도박대책 마련
전국에서 성행하고 있는 성인오락실 1만5000곳에 ‘결정적 타격’이 가해졌다. 정부와 열린우리당은 27일 사행성 게임장의 난립을 막기 위해 불법환전 등 부작용을 빚고 있는 경품용 상품권 제도를 폐지키로 했다. 당정은 이날 김근태 의장과 한명숙 총리 등이 참석한 고위 당정 정책조정회의에서 사행성 게임 근절대책을 논의, 다음달까지 게임산업법 입법예고를 하고 내년 4월28일까지 유예기간을 둔 뒤 상품권 제도를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당정은 게임산업법이 올 정기국회에서 처리되면 상품권 폐지시 예상되는 손해배상 소송이나 위헌 소송 등의 제기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당정은 상품권 폐지시 발행업체가 고의부도나 도산을 할 우려가 있다고 보고 검.경과 국세청 등을 동원해 특별관리해 나가기로 했다. 문화부, 2005년 8월 게임경품을 현금환전해주는 ‘상품권 법제화’결국 사행성 도박 부추겨…여론 질타 끝에 없애기로
노웅래 공보담당 원내부대표는 "상품권 누적발행액이 26조7천억원에 달하고 몇차례 재사용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유통액은 훨씬 클 것으로 예상된다"며 "당초 발행취지와 달리 상품권이 도박을 매개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불법환전등 부작용을 빚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경품용 상품권 시장은 연간 30조원이 넘는 규모다.
행정자치부, 문화관광부, 법무부, 정보통신부와 국세청 등 관련 부처는 26일 국무조정실 주관으로 회의를 열어 △경품용 상품권 제도 폐지(문화부) △회선망 차단(정통부) △불법 간판 단속(행자부) △세무조사(국세청) △강력하고도 지속적 단속(검찰·경찰) 등 ‘사행성 게임장 근절을 위한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앞서 문화부는 지난해 8월 성인오락실들이 게임을 통해 손님들이 얻은 경품을 현금으로 환전해주는 것을 막아 건전한 게임문화를 조성하고 문화산업 진흥을 꾀한다는 취지로 경품용 상품권 제도를 법제화했다. 하지만 발급된 상품권의 98.5%가 성인오락실에서 곧바로 현금으로 환전돼 정부의 애초 의도는 크게 빗나갔다. 전체 이용가 게임만 ‘등록제’…사행성 게임은 허가제 전환
|
서울 시내의 ‘황금성’ 오락실 (사진=이정국 기자)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