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신이 일하는 대형마트에서 할인해 파는 물건을 샀다는 이유로 해고된 이혜경 민주롯데마트 노동조합 울산진장점 지부장이 19일 오전 서울 을지로 롯데백화점 본점 앞에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 연 ‘부당해고 철회 요구 기자회견’에 참석해 심경을 밝히다가 흘린 눈물을 닦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
여소야대, 민생의 재구성
② 최저임금
야권 최저임금 대폭 인상 공약
여당은 세제 통한 간접 인상
마트 노동자 생존권 응답을
“최소한 한달 월급이 180만원은 돼야 살 것 같아요.”
대형마트에서 8년째 일하는 전미화(55)씨의 시급은 6130원이다. 수산물 다루는 일을 하는데, 힘든 일에 속해 회사 쪽이 올해 최저임금(6030원)에 100원을 더 얹어줬다. 월급으로는 120만원 정도 된다. 남편은 공사현장에서 일하는데 요즘 일감이 없어 수입이 거의 없다. 마트가 쉬는 날, 전씨는 가사도우미로 일한다. 그래도 임대아파트 월세와 보증금 대출이자를 내고 중학교 2학년 아들 뒷바라지를 하고 나면 남는 돈이 없다. 전씨는 이번 총선에서 ‘최저임금 1만원’을 공약으로 내세운 야당에 표를 던졌다. 전씨는 “정치권이 선거가 끝난 뒤에도 최저임금 인상이나 노동자 사는 데 관심이 있을지, 이제 3당 체제가 됐으니 더 싸우기만 하지 않을지 걱정된다”고 말했다.
4·13 총선에서 야당들은 ‘최저임금 1만원’을 대표 공약으로 내세웠다. 정의당은 노동계가 요구해온 최저임금 1만원을 가장 먼저 받아들여 “2019년까지 최저임금을 시간당 1만원으로 올리겠다”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은 정의당보다 한 해 늦은 2020년까지 최저임금 1만원을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전체 노동자 평균임금의 최소 50%로 최저임금을 올리는 것을 장기 목표로 삼았다. 2013년 현재 한국 노동자의 평균임금 대비 최저임금 비율은 35%, 중위임금 대비는 43%에 불과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각각 20위, 21위다.
국민의당은 최저임금과 관련해 공식 입장을 아직 내놓지 않았다. 국민의당 관계자는 19일 “20대 국회에서 공론화를 통해 논의한 뒤 정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총선 과정에 장병완 국민의당 정책위원회 의장이 “2020년까지 1만원에 도달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새누리당은 최저임금 인상보다는 근로장려세제 확대를 통해 저소득층 노동자 가구의 임금을 보완해주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근로장려세제는 저소득 노동자에 대해 소득수준에 따라 근로장려금을 지급하는 제도다. 이를 통해 저소득 노동자 가구 소득을 하위 25% 수준까지 끌어올리면 최저임금이 9000원까지 올라가는 ‘효과’가 난다는 게 새누리당의 설명이다.
최저임금은 매해 노동계, 경영계, 정부가 추천한 대표들로 구성된 최저임금위원회에서 결정된다. 최저임금은 노동자에게 기본적인 생계비를 보장해준다는 의미와 함께, 노동자 임금의 ‘바닥’ 수준을 높임으로써 임금격차를 축소하고 노동소득분배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정이환 서울과학기술대 교수(사회학)는 “우리나라는 기업별로 임금 교섭을 진행해, 전국적으로 임금을 올릴 방법이 최저임금 인상밖에 없다”며 “소득불평등 완화 역할이 크다”고 말했다.
“시급 인상 땐 카드수수료 면제 등 영세업자 지원책 필요”
총선서 여소야대 결과 나오며노동계 최저임금 협상 적극적
재계 “국회가 나서는건 외압”
고용위축 등 줄일 대책 있어야
|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