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2030 플랜Z
이통사 중저가 전용폰 써보니
“무조건 싼 제품 찾으세요? 괜찮은 ‘공짜폰’도 많으니 둘러보세요.”
20일에 찾은 서울의 한 이동통신 대리점에서 직원이 통신사별로 10여 가지 안팎인 스마트폰 목록을 내놨다. 프리미엄폰부터 올 초 나온 ‘중저가’ 스마트폰까지 다양했다. 출고가 100만원 안팎인 프리미엄폰이 대부분이던 몇년 전과 달라진 풍경이다. 프리미엄폰 ‘뺨치는’ 중저가폰도 꾸준히 등장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제품의 보급형인 A·J시리즈를 내놨고, 엘지(LG)전자도 다양한 가격대의 K·V시리즈를 팔고 있다. 애플도 아이폰5C에 이어 최근에는 60만원 안팎으로 파는 아이폰SE를 내놨다.
■ 중저가폰 출신지도 다양 중저가폰 가운데 눈길을 끄는 건 지갑은 얇은 반면 통신 서비스는 많이 이용하는 젊은층을 겨냥한 국내 이동통신사의 ‘전용폰’이다. 2014년 10월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이 적용되면서 젊은층이 고무줄 같은 보조금을 기대할 수 없게 되자 출고가가 낮은 스마트폰을 찾게 됐기 때문이다. 에스케이텔레콤(SKT)·케이티(KT)·엘지유플러스(LGU+)는 20~30대 고객을 묶어두려고 앞다퉈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 비율)를 확보한 전용폰을 내놓고 있다. 가장 최근 나온 에스케이텔레콤의 쏠(Sol), 케이티의 갤럭시J7, 엘지유플러스의 Y6를 직접 쓰며 장단점을 살펴봤다.
SKT 쏠·KT 갤럭시J7·LGU+ Y6화면 5~5.5인치, 속도도 괜찮아
8~16GB 저장 아쉽지만 추가 가능
가볍지 않고 카메라 기능 떨어져
Y6 지원금 더하면 사실상 공짜폰
쏠·갤J7도 값 저렴 “가성비 굿”
|
유한스·메이주·제트티이…낯선 중국산폰 구매대행 열기 유한스(Uhans), 메이주(Meizu), 제트티이(ZTE), 울레폰(Ulefone), 오키텔(Oukitel)…. 샤오미·화웨이가 중국산 스마트폰 브랜드의 전부라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대륙의 실수’로 불리는 샤오미 제품으로 대표되는 중국산 전자제품의 높은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 비율)가 알려지고,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단통법)까지 시행되면서 젊은층을 중심으로 중국산 스마트폰 구매대행에 나서는 이들도 나오고 있다. 바이블코리아·익스펜시스·쓰리케이에이치(3KH) 등 해외 구매대행 전문업체들은 각각 10개가 넘는 다양한 종류의 중국산 스마트폰을 구매대행 방식으로 판매하고 있다. 해외 구매대행은 소비자가 국내 오픈마켓이나 대행업체 누리집을 통해 신청하면 중국·홍콩 등에서 ‘자급제폰’(단말기만 직접 구매)을 수입해 통관·배송 작업을 대신해주는 방식이다. 샤오미·화웨이 등의 제품들은 국내 프리미엄폰과 비슷한 칩과 화면 크기, 카메라 기능 등의 제원을 지녔으나 20만~30만원대에 구입할 수 있다. 공시지원금 혜택은 못 받는 대신 이동통신사와 약정을 맺을 필요가 없다. 샤오미 스마트폰 구매를 알아보고 있는 대학생 박아무개(27)씨는 “중국산은 단말기 가격이 낮아 파손에 대한 부담이 적고, 잃어버리더라도 통신사에 위약금이나 할부금을 낼 필요가 없어 좋은 것 같다”고 말했다. 강선욱 바이블코리아 대표는 “알려지지 않은 중국산 브랜드가 우리가 생각한 것보다 훨씬 많다. 이름은 없지만 비슷한 성능에 값이 훨씬 싼 경우도 꽤 있다”고 말했다. 해외 구매대행 스마트폰 사용자 규모는 정부나 이동통신사가 파악하기 어려운데, 업계에서는 국내 시장의 5% 미만(한해 6~7만대 수준)으로 추정한다. 김성환 기자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