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6.07.13 21:24 수정 : 2016.07.13 21:29

김보통 제공

[매거진 esc] 김보통의 노잼, 노스트레스

김보통 제공
고등학교에 입학하고 얼마 지나지 않았을 때의 일이다.

당시 우리 집은 가난이 무릎 정도 차오른 상태였다. 나와 동생도 진작에 알고 있었다. 집안 구석구석까지 가난이 들어찼기에, 숨기고 말고 할 것도 없었다. 조금 불편했지만 그냥저냥 살 수는 있었다. 외식은 못 하지만 굶지는 않고, 메이커 옷은 없지만 발가벗고 다니진 않는 그런 가난이었다.

그런 어느 날, 담임 선생님이 나를 복도로 불러내셨다. “얘. 너 컴퓨터 할 줄 안다고 했지?”

당시는 그러니까, 인터넷이 갓 상용화되던 해로 집에 컴퓨터가 있는 사람이 드물었다. 컴퓨터를 ‘할 줄 아는' 사람 역시 흔치 않은 시절이었다.

“네. 조금.”

이런 대답에 선생님은 말씀하셨다. “너 도서관 근로장학생 해라. 학교 도서관에서 타자 좀 치면 되는 건데, 학비 면제해줘.”

당시 고등학교 한 학기 학비는 30만원. 내려면 내지 못할 것까진 없는 수준인데, 담임 선생님은 나에게 그 일을 주셨다. 학기 초 개인면담 때 집안 상황에 대해 이야기했던 것 때문인지, 그렇게 나는 근로장학생이 되었다.

어렵지 않았다. 점심시간이 되면 서둘러 밥을 먹고, 학생들이 책을 빌리러 오기 전 도서관에 도착해 자리에 앉아 있다 책을 대여해주고, 반납을 받으면 그만이었다. 바코드 리더기는 없었고, 대신 책 뒤커버에 달린 자그마한 봉투 속 도서대여카드에 수기로 대여자의 이름을 적어넣어야 했는데, 그 목록을 도서관리 프로그램에 정리할 때 ‘컴퓨터를 다루는' 능력이 필요했다. 능력이라 할 만한 것도 아니지만, 당시는 국민 대다수가 독수리 타법으로 키보드를 치던 시절. ‘다음 사람이 기다리지 않을 정도로 신속히 키보드를 치는 것'이 일종의 재주가 될 수 있었다.

그렇게 1학기가 지나갔다. 부모님은 학비를 버는 나를 내심 대견해하시는 것 같았다. 하지만 내가 근로장학생 일을 한 것은 단지 부모님의 부담을 덜어드리기 위한 게 아니었다.

여름 방학이 시작될 즈음 둘러앉아 밥을 먹던 자리에서 난 말했다. “나. 등록금 번 걸로 일본에 가면 안 될까.”

아버지가 물었다. “30만원으로 일본을 어떻게 가?” 나는 대답했다. “부산에 가서 배를 타면 5만원에 갈 수 있대.”

한참 말이 없으셨던 아버지. “그래, 가라.” 허락했다.

그렇게 내 생애 첫 해외여행이 시작됐다. 하지만 내가 가지고 간 돈은 일반적인 여행객의 비상금 수준이었다. 꼬박 12시간, 그 길고 긴 항해 끝에 도착한 일본. 먹고 싶은 것, 사고 싶은 것, 하고 싶은 것, 그 어느 것도 맘대로 할 수 없었다. 너무 더워, 큰마음을 먹고 콜라 하나 사먹고 싶어도 참고, 또 참았다. 당시 한국에서 250원이면 사먹을 수 있던 콜라가 110엔(1100원 정도). 여행 내내 그렇게 망설이다, 정말 딱 한번 콜라를 사먹었을 정도다. 지금 생각해보니 일종의 난민 체험 비슷한 것이 아닌가 싶은, 고되기만 한 시간이었다.

기념품도 딱 하나 샀다. 우리 가족 가운데 최초, 가장보다 먼저 해외여행 간 것에 대한 죄책감 때문인지 아버지에게 드릴 휴대용 면도기만 달랑 사왔다. 1000엔짜리였다. 크기도, 소리도 작은 게 분명히 싸구려였을 그 면도기를 받아든 아버지는 실망스런 표정으로 전원을 켜 성의없이 수염을 몇번 깎으시더니 입고 있던 옷의 가슴 주머니에 넣으셨다. 그 뒤로도 아버지가 그 면도기를 사용하시는 모습은 보지 못했다. 몇년 지나 책꽂이 어딘가에서 발견된 면도기는 먼지만 풀풀 뒤집어쓰고 있었다. 오랜 세월, 버림받았다.

김보통 만화가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ESC: 김보통의 노잼, 노스트레스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