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6.08.31 18:11 수정 : 2016.08.31 20:10

압둘 와합
헬프시리아 사무국장

시리아의 다라야시는 2012년 11월 이후 정부군의 봉쇄와 끊임없는 공습으로 고통받아왔다. 건물 80%가 파괴되었고, 주민 90%가 실향민이 될 수밖에 없었다. 지난 4년간 이 도시에는 기름통에 폭발물과 인화물질, 금속 조각, 유리 등을 채워 넣은 배럴폭탄 6천통이 투하되었고, 그중 적어도 22개에는 네이팜 등 국제적으로 금지된 물질이 들어 있었다. 미사일 697기와 포탄 수천 발도 하늘에서 쏟아졌다.

지난 7월, 유엔의 구호 차량 11대가 처음 다라야에 들어갔다. 그러나 4년간 식량 공급이 끊긴 이곳 주민들에게 전달된 식료품 상자는 480개가 전부였다. 그밖에 물을 비롯해 생존에 필요한 많은 필수품들이 빠져 있었다. 구호품의 90% 정도는 모기장, 휠체어, 간질약, 옴·이 퇴치제 등 주민들에게 절실한 물품이 아니었다. 그리고 그게 마지막이었다. 이후 어떠한 원조도 없었다.

다라야는 주 시리아 유엔 파견단 본부에서 8킬로미터밖에 떨어져 있지 않고, 다라야에 대한 봉쇄를 풀라는 유엔 안보리의 결의에도 불구하고, 국제사회는 봉쇄를 풀기 위한 어떤 움직임도 보이지 않았다. 지난 7월 유엔의 구호 이후 다라야 주민들은 국제사회에 의존하는 것을 사실상 굶어 죽는 것으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반군은 지난 26일 다라야에서 무장군과 시민들을 빼내기로 시리아 정부와 협정을 맺을 수밖에 없었다.

그 협정은 시민들을 다마스쿠스 시골 지역에 있는 사흐나야 정부군 통제지역으로 보내고, 무장군은 시리아 북부지방의 이들리브주로 보내는 내용을 담고 있다. 시리아 정부는 돈이나 금을 비롯해 값이 나가는 어떠한 개인 소지품도 반출을 금했다. 마침내 다라야 주민들이 봉쇄와 굶주림, 끝없는 공습 끝에 4년 만에 눈물을 흘리며 자신들의 마을을 떠나는 모습이 외신을 타고 보도됐다. 시리아 정부의 특별보호센터로 옮겨질 주민들은 매우 두려워하고 있다. 정부가 이전에도 합의를 위반해 주민들을 커다란 고통에 빠뜨렸기에 더욱 그렇다.

유엔은 이전에도 시리아 주민들을 소개하는 일을 몇차례 지원하고 감독했다. 그러나 도시에서 주민들을 협박해 비워내는 것은 국제법 원칙에 어긋난다. 이런 사례가 유사한 중재안들의 길을 닦아줄 우려도 크다. 그런데도 그동안 유엔이 시리아에서 성공한 것은 주민들의 강제 퇴거·이주가 유일하다. 무엇보다 유엔 인권선언 제13조는 “각 개인은 자국 내에서 이동 및 거주지 선택의 권리가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유엔 스스로 자신의 선언을 부인하고 있는 셈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유프라테스 이웃의 메시지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