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6.11.09 18:23
수정 : 2016.11.09 20:11
조혜정
ESC팀장
200번째 입수. 지난 5일 오전 11시8분, 제주 서귀포 문섬 불덕 포인트. 2012년 1월19일, 태어나 첫 다이빙을 한 지 4년10개월 만에 다이빙 로그(횟수) 200을 넘겼다.
30만 민주시민이 촛불을 드는 ‘이 와중에’ 다이빙을 하러 간 건, 그럼에도 덕질기를 써야 했기 때문이라는 비겁한 핑계는 대지 않겠다. 덕질기는 매주 쓰는데 정작 덕질을 못 하니 바다가 너무 간절해졌다. 마음은 광화문에 둔 채 바다로 뛰어들 땐 내가 이러려고 다이버를 했나 자괴감이 들고 괴로웠다. 하지만 제법 큰 자리돔들이 떼 지어 지나가는 모습에 금세 행복해졌다.
갑자기 굉음이 들렸다. 문섬에 몇 번을 들어갔는데, 그게 잠수함 엔진 소리라는 걸 모를 리 없다. 누구는 조류에 떠밀려가다 잠수함을 본 적도 있다지만 난 한 번도 보질 못했다. 신경 끄고 선두 그룹을 따라 계속 가려는데 어라, 이분들이 갑자기 아래쪽으로 방향을 튼다. 고개를 돌리자 눈에 들어온 건 굉음의 주인공, 잠수함. 꼭 한 번은 보고 싶었던 너를 이제야 보는구나, 기뻤다.
버디(다이빙 짝)와 눈이 마주쳤다. 나랑 제일 많이 다이빙한 이 친구가 주머니 안에서 손수건만한 천을 주섬주섬 꺼내기 시작했다. 뭐지? ‘물벗! 조혜정 축 200log’. 나랑 두 번째로 많이 다이빙한 친구가 새벽같이 일어나 한자 한자 정성스레 써준 거였다. 그들과 함께 다이빙하고 다이빙 이야기를 나눈 지난 시간, 그동안 쌓아온 우정과 신뢰에 가슴이 벅찼다. 눈물이 났다.
|
200번째 다이빙 축하 ‘손수건’을 펼치고 있는 버디. 조혜정 기자
|
바다에서 만난 사람들은, 비다이버와는 하기 힘든 이야기를 나누고 공감할 수 있다. 그래서 낯을 많이 가리는 편인 나도 바다에선 처음 만난 사람조차 편하게 대할 수 있다. 더구나 바닷속에 들어가면 물 밖에서처럼 의사소통을 자유롭게 할 수 없기에, 같이 다이빙하는 사람들끼리 서로의 안전과 즐거움을 섬세하게 살피는 게 매우 중요하다. 그런 시간과 경험을 공유해온 내 모든 바다 친구들, 오래오래 안전하고 행복하게 다이빙하시라. 그리고 200로그가 2000로그가 될 때까지 나랑 같이 놀아주시라.
zesty@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