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포도 발효종을 사용해 구운 올리브 치아바타의 모습. 겉으로는 무난해 보이지만, 기대만큼 발효가 제대로 되지 않아 큰 실망을 안겼다.
|
|
책지성팀 기자 1358년 봄, 봉건 영주의 가렴주구가 극에 달했던 프랑스에서 농민들의 반란이 일어났고, 반란의 기운은 영국까지 번졌다. 애초 프랑스 농민군의 구호는 “부풀어오르는 빵”이었는데, 영국 농민들은 이 구호를 “빵이 곧 부풀어오르리라!”로 바꾸었다. 밀가루 반죽에 효모(이스트)를 넣고 기다리다 보면, 빵이 스스로 부풀어오르듯, 마침내 그동안 빼앗긴 것들을 되찾아오기 위한 적절한 시기가 되었다는 기대감이 그 속에 배었다. 너무 거창한 사례를 들었는지 모르겠다. 그만큼 제빵의 본질은 밀가루 반죽을 부풀리는 데 있다는 얘기를 하려 했다. 반죽을 부풀린 뒤 굽는다는 점에서 빵은 그저 딱딱한 밀가루 덩어리와 다르다. 효모는 적당한 온도와 습도에서 반죽 속 당분을 먹어치우며 증식을 하는데, 이 과정에서 이산화탄소와 알코올을 생성한다. 그 결과로 반죽이 부풀어오르는데, 이것을 고온에 구우면 부드럽고 푹신한 식감의 빵이 탄생한다. 빵의 단면을 봤을 때 구멍이 숭숭 뚫려 있으면 ‘잘 만든 빵’이라고들 한다. 그만큼 발효가 잘됐다는 사실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
건포도 액종에 여러 차례 밀가루를 섞어서 발효종을 만든다. 균들의 왕성한 활동 덕에 표면에 조그만 구멍들이 잔뜩 생겼다.
|
|
깨끗한 물에 건포도와 약간의 설탕을 넣고 일주일 정도 삭히면 건포도 액종이 만들어진다. 뚜껑을 열면 ‘푸쉭’ 하고 가스가 나온다.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