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미래연구원, 경제개혁연구소, 경제개혁연대가 3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공동으로 주최한 ‘가계부채 문제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보수-진보 합동토론회에서 김동원 고려대 경제학과 초빙교수(맨 앞)가 발표를 하고 있다. 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
[보수-진보 ‘가계부채’ 토론회]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 143%
정부, 2014년 5%p 낮추겠다고 했지만
이후 8.8%p 높아져…빚 주도 성장정책탓
과잉대출 규제등 적극적 구조조정 필요
개혁적 보수와 합리적 진보가 함께한 토론회에서 가계부채 문제가 이미 위험수위에 도달했고 정부가 관리 가능한 범위를 넘어섰기 때문에,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구조조정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한목소리로 나왔다. 한국 경제의 ‘뇌관’으로 불리는 가계부채의 위험성에 대해 보수와 진보 성향의 학자들이 진영에 상관 없이 견해를 같이한 것이다.
국가미래연구원(원장 김광두), 경제개혁연구소(이사장 장하성), 경제개혁연대(소장 김상조)가 3일 서울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가계부채 문제 해법’을 주제로 연 합동토론회에서, 보수 쪽 발제자인 김동원 고려대 경제학과 초빙교수는 “가계부채 위기 조짐이 이미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진보 쪽 발제자로 나선 김남근 변호사(참여연대 집행위원장)도 “가계부채의 증가가 가계의 부담으로 이어져 민간 소비 위축과 내수 경제의 장기 침체로 귀결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토론자로 나온 박창균 중앙대 경영학부 교수도 “가계부채 위기의 개념을 넓게 보면 이미 위기 상황에 근접해 있다”고 지적했다.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장은 “기업들의 부실이 심각한 상황이어서 가계부채 부실과 동시에 터질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고 걱정했다.
|
가계부채 현황
|
|
가계부채 대란 4가지 시나리오
|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