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09.21 19:54 수정 : 2018.09.22 08:43

새 집사의 옆구리에 올라탄 희한한 자세로 식빵을 굽는 중인 라미.

[토요판] 박현철의 아직 안 키우냥
25. 새 집사의 등장(feat. 라미)

새 집사의 옆구리에 올라탄 희한한 자세로 식빵을 굽는 중인 라미.

언제부턴가 ‘그 보모 이모’가 좀 자주 오긴 했다. 어쩔 땐 와서 ‘냥케어 필수 3종 세트’인 밥 주고, 물 주고, 화장실 치워주는 일도 하지 않고 가버리기도 했다. 그 일이 아니라면 이모들이 오는 일은 없었는데…. 그랬는데, 한달 전부터 ‘그 보모 이모’는 밤이 되어도 집에 가지 않았다. 그랬다. 추가 집사이자 새 집사가 된 것이었다.

그 이모, 아니지, 새 집사는 몇 가지 좋은 점이 있었다. 우선 ‘헌 집사’에겐 없는 치렁치렁한 머리카락이 있었다. 밤이 되면 그 머리카락에서 향기로운 냄새가 났다. 헌 집사가 밤에 우리와 놀아주지 않은 지는 오래됐는데, 새 집사는 그래도 나와 보들이가 예쁘다며 안아주기도 했다. 그러면 난 그 머리카락과 씨름하면서 사냥놀이를 대신했다. 보들이는 가만히 냄새만 맡았다.

새 집사는 좀 상냥했다. 함께 살기 시작한 초반이라 그런지는 모르겠으나, 나와 보들이에게 바르고 고운 말만 했다. 누구처럼 “너네들 말 안 들으면 모란시장에 팔아버린다” 따위의 멍멍이들한테도 안 통할 시대착오적인 협박 따윈 하지 않았다.

싱크대에 오를 일도 많아졌다. 새 집사가 오고 나니 국에 말아 먹고, 3분 카레에 비벼먹던 헌 집사의 식단이 좀 나아졌다. 밑반찬이라는 게 등장하기 시작했고 뭘 굽기도 하고 찌기도 했다. 난 자연스레 싱크대에 올라가는 일이 많아졌는데, “아 진짜, 피곤하네, 좀 내려가라”며 구박하던 헌 집사와 달리, 새 집사는 내가 털을 날리고 음식에 코를 갖다대도 야단치지 않았다. 난 밥상머리에선 예전과 달리 차분함을 유지했는데, 그러자 또 새 집사는 “우리 라미 예전보다 훨씬 얌전해졌다”며 먹던 생선을 발라주기도 했다.

새 집사가 온 7월 중순부터 이거 뭐 고양이 잡는 무더위가 시작됐는데, 새 집사 덕분에 작년 여름보다 에어컨을 많이 켤 수 있는 것도 좋았다. 짠돌이 헌 집사는 어지간히 덥지 않으면 에어컨을 틀지 않았는데 더위에 민감한 새 집사 덕분에 집사들의 퇴근과 동시에 다음날 출근할 때까지 쾌적한 밤을 보낼 수 있었다. 두 집사들은 7월 말부턴 아예 에어컨이 있는 마루에서 잤는데, 그것도 좋았다. 1년 넘게 집사와 각방을 쓴 탓에 새벽에 깨면 할 게 없었는데, 잠든 집사들을 밟거나 머리카락을 뜯으면서 아침밥 급식기가 열리기를 기다릴 수 있었다.

새 집사가 오니 새로운 즐길거리도 생겼다. 헌 집사가 나무조각들을 조립해 만든 게 새로 생겼는데, 새 집사는 아침마다 거기 앉아서 얼굴에 뭔가를 발랐다. 나도 새 집사처럼 뒷발은 의자에 앞발은 그 나무탁자에 올려놓고 보니 내 얼굴이 보였다. 그런 나를 본 새 집사는 또 “우리 라미 이쁘다”며 박수를 쳤다. 새 집사가 워낙 나를 예쁘다고 해서 헌 집사에겐 잘 하지 않던 ‘꾹꾹이’(앞발로 사람이나 사물을 누르는 행동으로 고양이의 대표적 애정 표현)를 한번 해줬더니 또 좋아라 했다.

한때 “고양이 두 마리랑 그냥 평생 살 거”라던 헌 집사가 새로운 인간을 데려오면서 나나 보들이한테 양해를 구하지 않은 것은 좀 유감이긴 했다. 나는 유감 정도로 그쳤지만 보들이는 유감에 유감을 더해 며칠 동안 식사량을 줄이는 ‘감식투쟁’을 하기도 했다. 물론 차마 단식투쟁에 이르진 못하고 이내 예전 식사량을 회복했다.

서대문 박집사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토요판] 박현철의 아직 안 키우냥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