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검색
광고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유리창’서 마주친 한중문화
공녀의 눈물·북학파의 호기심…두나라의 만남 ‘오롯이’ 오랫동안 우리나라의 교류는 거의 중국 한 나라와만 이뤄졌다. 주로 중국의 것을 받아들이는 교류 관계였지만 주도적 역할을 하며 ...
2005-02-04 19:01
닮은꼴 심리세계, 다른꼴 발현양태
이명박·박찬욱·심은하·김민기…달라보이는 유명인 짝지어공통점 차이점 분석똑같은 부성 콤플렉스라도 박근혜, 아버지에 갇혀 혼돈문성근, 아버지 열고 세상으로 현상 너머에 본질이 있다....
2005-02-04 18:52
근대 중국 지식인들의 희망찾기
서구 문화를 제일 먼저 받아들인 일본은 스스로 동아시아의 제국이 되려는 야심에도 불구하고, 동아시아에 서구 문화를 전파하는 가장 가깝고 친숙한 창이었다. 한국이 유교적 전통을 내세워...
2005-02-04 18:47
2월 5일 새로나온 책
인문·사회 한 권으로 보는 일제침략사 65장면=친일문제 연구가 김삼웅 독립기념관장 등 현대사 학자들이 1875년 운요호 사건에서부터 1945년 일왕 항복선언까지 일제 침략의 역사 65장면...
2005-02-04 18:42
발해는 고구려 계승 “증거 보여주마”
발해왕조가 고구려를 계승한 민족사 일부분이라는 것은 한국인만의 상식이다. 동북공정을 진행중인 중국은 지방정권으로 격하시키고 있고, 연해주가 발해강역이던 러시아나 사신교류 기록이 ...
2005-02-04 18:35
나으리~ ‘몰래음주’ 딱 걸렸소
생활사는 왕조사·정치사의 거시적 그물에 걸리지 않는 옛 사람들의 구체적인 일상을 살피는 분야다. 이 미시적 역사연구가 진척되면서 이 땅의 조상들이 어떤 표정으로 살았는지 조금은 더 ...
2005-02-04 18:35
2월 5일 잠깐독서
제국의 멸망 어찌 한 칼에 잘라 말하리 인류 역사상 제국의 칭호를 얻은 세력은 그리 많지 않다. 그 몇 안 되는 제국들은 극적인 탄생만큼 그 몰락 또한 극적이었다. 그리고 그 속에 담...
2005-02-04 18:28
“윤리가 뭐냐고? 네가 원하는 걸 하는거지”
만약에, 그런 일이 쉽게 생기지는 않을 것 같기는해도, 열다섯살짜리 아들이 “윤리학이 뭐냐”고 물어온다면 아버지들은 어떻게 대답해줘야 할까? 그렇다면 역시 자주 있는 일은 아니겠지만 ...
2005-02-04 18:21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맨앞으로
이전으로
7701
7702
7703
7704
7705
7706
7707
7708
7709
7710
다음으로
맨뒤로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