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석영 에 등장하는 유비·관우·장비·공명의 인물도(왼쪽에서부터). 삼국지의 이 주인공들은 태음(유비)·태양(관우)·소양(장비)·소음(공명)의 성정을 전형적으로 보여준다. 지은이는 사상체질의 한 사례로서 이들의 인성적 특질을 흥미롭게 분석하고 있다. 창비 <삼국지>에서
|
‘오행’ 대신 ‘사상’ 도입한 독창성으로
역사상 처음 동아시아 의학체계 흔들다
임상경험으로 사람유형 나눴지만
‘수양’에서 궁극의 치료법 찾은
유학·의학이 만나 피운 찬란한 불꽃
의학속 사상/(17) 이제마의 사상의학 1939년 <조선명인전>의 출간은 이제마(1837~1900)가 일부 한의학계의 울타리를 넘어 조선의 문화를 대표하는 인물로 우뚝 서게 된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이 책은 한국의 역사에서 걸출한 위인 98명을 선정했는데, 이제마는 을지문덕, 세종대왕, 이순신, 장영실 등과 함께 당당한 1인으로 등재됐다. 개항 이후의 인물로는 그가 유일했으며, 의학분야의 인물로는 그 외에 허준이 있었을 뿐이다. 사후 50년도 채 되지 않아 이런 평가를 받은 인물은 그다지 흔치 않은 일이다. 이 책 이후 이제마는 홍이섭의 <조선과학사>, 최남선의 <조선상식문답> 등의 책에서 한국과학사를 대표하는 중요한 인물로 확고히 자리를 잡았다. 이런 평가는 오늘날까지도 지속되고 있다. 조선명인 꼽힌 과학사 중요인물 <조선명인전>에서 이제마의 전기를 쓴 인물은 이능화였다. 이능화는 <조선불교통사>, <조선무속고>, <조선해어화사> 등의 저작으로 당시 한국을 대표하는 국학자로 평가받고 있었다. 이능화는 이제마와 개인적 친분이 있었다. 이제마가 고향 함흥을 떠나 서울에 머물 때 그의 집에 머물면서 사상의학을 연구했다. 이 때 이제마는 그에게 자신은 사상인 가운데 태양인이라 했으며, 이능화를 소양인으로 판정하면서 그의 병을 고쳐주기도 했다. 이렇듯 이제마를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이능화는 매우 상세하게, 또 흥미롭게 그의 의술과 학문세계를 서술했다. 이능화는 이제마의 사상의학이 “그 이치가 지극히 묘하고 그 효력이 신과 같아 가히 전 사람들이 발명치 못한 바를 발명한 것”이라 칭송했다. 동아시아에서 한의학이 탄생한 뒤 수많은 학설이 나왔지만, 이제마의 사상의학은 그중에서도 매우 독특한 것이었다. 그것의 독창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잠시 우리가 한의학이라고 부르고 있는 의학체제의 특성을 간략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한·중·일을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서 시술돼온 한의학은 기본적으로 인체와 자연의 ‘기’를 중심으로 한 의학체계다. 그 기의 운용은 음기와 양기로 나뉘어 파악되며, 목·화·토·금·수 등 오행으로 일컬어지는 기의 상태로 전변되는 것을 가정한다. 이른바 음양오행의 의학이다. 한의학은 이 음양오행을 바탕으로 하여 몸의 상태를 다루는 생리학, 병을 다루는 병리학, 병을 알아내는 진단학, 병을 고치기 위한 치료학, 약물을 다루는 약리학 등을 발전시켜왔다. 대체로 동아시아 의학체계를 수놓은 수많은 학설과 논쟁은 대체로 이 음양오행 개념을 그대로 인정하는 틀 안에서 이뤄진 것이었다.
하지만 이제마는 동아시아 의학 역사상 처음으로 오행에 따른 오장육부의 개념을 따르지 않고, 오행 대신에 사상을, 오장육부 대신에 사장사부를 중심으로 한 학설을 내놓았으니, 그 파격성이란 능히 짐작하고도 남을 것이다. 이보다 더 놀랄 만한 부분이 있다. 환자와 병을 접근해 들어가는 방법에 대한 인식을 바꾼 점이 그것이다. 기존의 동아시아 의학의 일관된 입장은 환자의 병증을 살펴 음양·한열·허실·표리를 따져 병을 고치는 방법이다. 여기서는 환자 개개인의 차이보다는 병증의 유사함과 다름이 우선이 된다. 이제마의 사상의학은 사람은 넷의 유형으로 나누면서, 각 유형에 따라 병을 앓는 것이 다르며, 당연히 병을 고쳐가는 방법도 달리해야 한다는 학설을 주장했다. 곧 증상보다 환자의 유형을 앞세운 것이다. 이제마는 비록 증상이 같다 해도 사람의 유형이 다르면 다른 약을 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1만명에 태양인은 10명 이내
|
사람유형에 따른 치료법을 주장한 이제마.
|
|
신동원/카이스트 연구교수·과학사
|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