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인수 시집 <쉬!>
|
예순 지난 아들, 아흔 아버지 안고 오줌 뉘며
어리광 부리듯 ‘시원하시것다아’ 마음 쓰고
미안한 아비의 툭, 툭, 끊기는 오줌발
피붙이의 진심어린 교감
만으로 마흔의 비교적 늦은 나이에 등단한 문인수(61)씨가 네 번째 시집 <쉬!>(문학동네)를 펴냈다. 그보다 십몇 년씩 일찍 문단에 나온 또래 시인들이 벌써부터 피로와 타성의 기미를 보이고 있는 데 반해, 문씨의 시는 좀처럼 싱싱한 활력을 잃지 않으면서 연륜과 경험에서 우러난 깊이까지 갖추어 갈수록 읽는 맛을 더한다.
“광명에도 초박의 암흑이 발려 있는 것 같다./전깃불 환한 실내에서 다시/탁상용 전등을 켜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그럴 때 분명, 한 꺼풀 얇게 훔쳐 감추는 휘발성분 같은 것/책이나 손등, 백지 위에서 일어나는/광속의 투명한 박피현상을 볼 수 있다./사랑한다, 는 말이 때로 한순간 살짝 벗겨내는/그대 이마 어디 미명 같은 그늘,/그런 아픔이 있다. 오래 함께한 행복이여.”(<그늘이 있다> 전문)
이 아름다운 시는 문인수씨의 섬세한 관찰력과 사물의 이면을 들여다보는 혜안을 유감없이 보여준다. 빛의 강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은 한갓 평이한 산문적 진술에 지나지 않을 터이다. 그러나 같은 말을, 얇은 어둠의 꺼풀이 빛 덩이를 덮고 있다고 표현하는 순간 그것은 단박에 시적 차원으로 도약하게 된다. 그리고 빛을 감싸고 있는 얇은 꺼풀이 더 강한 빛에 의해 살짝 벗겨지는 순간에 빗대어 행복의 미묘한 역설을 노래할 때 거기에는 삶을 바라보는 웅숭깊은 시선이 깃들이는 것이다. 시집 <쉬!>에 실린 작품들은 이처럼 치밀한 관찰과 원숙한 해석이 어우러져 자주 진경을 연출한다. 환갑을 지난 아들이 아흔 넘은 아버지를 안고 오줌을 누이는 이야기를 다룬 <쉬>가 대표적이다.
싱싱한 활력에 우러난 깊이까지
“생의 여러 요긴한 동작들이 노구를 떠났으므로, 하지만 정신은 아직 초롱 같았으므로 노인께서 참 난감해하실까봐 ‘아버지, 쉬, 쉬이, 어이쿠, 어이쿠, 시원허시것다아’ 농하듯 어리광 부리듯 그렇게 오줌을 뉘었다고 합니다.”
그 자신 결코 젊다고는 할 수 없는 아들이 극노인인 아비를 안고 어린아이에게 하듯, 그러나 어디까지나 노인의 심기를 거스르지 않도록 삼가면서 오줌을 누이는 장면이 눈에 선하게 그려진다. 이것만으로도 아름답다 하겠는데, 그러나 이 시는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간다. 아들에게 안기어 오줌을 누는 구순 아버지의 마음을 헤아리는 것이다.
“온몸, 온몸으로 사무쳐 들어가듯 아, 몸 갚아드리듯 그렇게 그가 아버지를 안고 있을 때 노인은 또 얼마나 더 작게, 더 가볍게 몸 움츠리려 애썼을까요. 툭, 툭, 끊기는 오줌발, 그러나 그 길고 긴 뜨신 끈, 아들은 자꾸 안타까이 따에 붙들어매려 했을 것이고, 아버지는 이제 힘겹게 마저 풀고 있었겠지요. 쉬-” 산문시에 가까운 이 작품에서 환갑 아들과 구순 아버지 사이의 진심의 교감은 더할 나위 없이 완벽하게 처리되었다. 다시 그러나, 시인은 여기서 만족하지 않고 두 피붙이의 교감을 전 우주적 차원으로 끌어올린다. 화룡점정과도 같은 시의 마지막 행이다.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