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2.16 19:08 수정 : 2006.02.17 16:53


일연 <삼국유사>

[가로 열쇠]

1. 고려시대의 승려, 학자. <삼국유사>의 지은이.

3. 중국에서, 주변에 살던 미개한 종족을 멸시하는 말. “연나라 사람 위만은 진번조선의 ○○○들과 또 옛날의 연과 제에서 망명한 자들을 복속시켜 왕이 되었다.”(위만조선 편)

4. 신라 건국의 시조. 박씨의 시조이며 ‘불구내’라고도 한다.

5. 강원도 강릉시, 홍천군, 평창군에 걸쳐 있는 산. 월정사와 상원사 등 유서 깊은 사찰과 문화재가 많이 있다. <삼국유사>에 자주 등장한다.

6. 단군신화에 나오는 단군의 어머니. 쑥 한 줌과 마늘 20개를 먹고 100일 동안 햇빛을 보지 않고 참아서 사람이 됐다.


7. 음식의 간을 맞추는 데 쓰는 검붉고 짠맛이 나는 액체. 신라 풍속에 호랑이에게 다친 사람들은 흥륜사의 ○○을 바르고 그 절의 나팔 소리를 들으면 나았다고 한다.

8. 임금에게 작별 인사를 올리는 일. 박제상은 왕에게 ○○하고 왜로 건너가 거짓으로 왜왕을 속여 왕자를 구한 뒤 자신은 참형을 당한다. “차라리 계림의 개 돼지가 될지언정 왜국의 신하는 되지 않겠다”라고 했다.

9. 임금의 재위 연대에 붙이는 칭호. “세자가 왕위를 이어받자 명황이 그를 책봉하여 왕위를 잇게 하니, 사사로이 ○○를 인안으로 고쳐 마침내 해동성국이 되었다.”(말갈과 발해 편)

11. 의젓하고 엄숙함. “여자가 지켜야 할 것은 두 남편을 섬기지 않는 것입니다. 설령 천자의 ○○이 있다 해도 남편이 있는데 다른 사람에게 가게 하지는 못할 것입니다.”(도화녀와 비형량 편)

13. 신라 때 전설의 피리. 이것을 불면 온갖 소원이 성취되므로 국보로 삼았다 한다.

15. 사람의 흉내를 잘 내는 새. 신라 흥덕왕 때 당나라 사신이 이 새 한 쌍을 가져왔는데, 암놈이 죽고 수놈이 홀로 남아 슬퍼하자 새 앞에 거울을 두었다. 거울 속의 모습을 보고는 제 짝을 얻은 줄 알았다가 제 그림자인 것을 알고는 더욱 슬피 울다 죽었다고 전해진다.

17. 다른 나라의 정치나 외교에 참견함으로써 그 주권을 속박·침해하는 일. <삼국유사>가 씌어질 당시 몽고의 ○○○○이 심했다.

19. 정확한 사실을 바탕으로 하여 편찬한 역사. <삼국사기>는 왕명에 의해 편찬된 ○○, <삼국유사>는 승려 개인이 쓴 야사 성격이 강하다.

20. 삼국통일을 주도한 신라의 장수. <삼국유사>에 매우 자주 등장하는 인물이다.

23. 경상남도 남동단에 있는 광역시. 우리나라 제2의 도시. <삼국유사>는 ○○유형문화재 31호로 지정돼 있다.

[세로 열쇠]

2. 설화 속 인물로 일본으로 건너가 왕과 왕비가 된 두 사람을 함께 일컫는 말. 이 설화는 한국의 태양신에 관한 신화로서는 유일하다.

6. 우람하고 으리으리하다. “아이가 장성하자 몸과 모양이 ○○하고 기이했으며 뜻이 커서 남에게 얽매이지 않고 비범했다.”(후백제와 견훤 편)

7. 잘 간수하여 둠. <삼국유사> 발문에 의하면, <삼국유사>를 재간행할 때 여러 고을에 나누어 간행한 후 각 고을로 보내 ○○하게 했다고 한다.

8. 억울하고 딱한 사정을 털어놓고 말하거나 간곡히 호소함. 어느날 김유신의 무덤에서 그 자손이 억울한 죽임을 당했음을 ○○○하는 듯한 소리가 들려, 혜공왕이 사람을 보내 무덤 앞에서 사과를 했다.(미추왕과 죽엽군 편)

10. 따라다니면서 신변을 경호함. 진성여왕 때 활 잘쏘는 거타지가 사신 자격으로 당으로 갈 때 용 두 마리가 그 배 주위를 ○○했다고 한다.(진성여대왕과 거타지 편)

12. 어수선하여 질서나 통일성이 없다. <삼국유사> 후반부에 각 항목마다 거의 빠짐없이 시가 실려있는데, ○○하게 편찬된 체제에 통일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14. 털빛이 푸른 빛깔의 새. 흔히 상서로운 조짐을 나타내는 새로 통한다. ‘낙산의 두 성인 관음과 정취, 그리고 조신’ 편에 한 번 등장한다.

16. 고려 후기에 무신들이 정치를 행하던 일. <삼국유사>의 지은이는 최충헌이 집권한 ○○○○ 시대인 1206년 경상도 경산에서 태어났다.

18. 임금이 직접 통치할 수 없는 때에 임금을 대신해 정치함. “제24대 진흥왕은 즉위할 때 나이 15살이므로 태후가 ○○했다.”(진흥왕 편)

20. 고려시대의 문신,학자. <삼국사기>를 편찬했다.

21. 7세기에 최초로 한반도를 통일한 왕조. <삼국유사>는 지나칠 정도로 ○○의 사료를 많이 인용하여 ‘○○유사’라고 부르는 이도 있다.

22. 해열제나 강장제로도 쓰이는 나무 열매. 최근에 건강식품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도림사 대숲에서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라는 소리가 들려 대나무를 모두 베고 ○○○ 나무를 심었다.”(제48대 경문대왕 편)

24. 손위 누이의 남편. 자형. 노례왕이 ○○ 탈해에게 자리를 물려주려 하자 탈해는 치아가 많은 사람이 왕이 되어야 한다고 하여, 떡을 깨물어 잇금이 많은 노례왕이 먼저 즉위했다.(제3대 노례왕 편)

인터넷 국어논술 ‘일교시닷컴’ 이사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