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연 <삼국유사> [가로 열쇠] 1. 고려시대의 승려, 학자. <삼국유사>의 지은이. 3. 중국에서, 주변에 살던 미개한 종족을 멸시하는 말. “연나라 사람 위만은 진번조선의 ○○○들과 또 옛날의 연과 제에서 망명한 자들을 복속시켜 왕이 되었다.”(위만조선 편) 4. 신라 건국의 시조. 박씨의 시조이며 ‘불구내’라고도 한다. 5. 강원도 강릉시, 홍천군, 평창군에 걸쳐 있는 산. 월정사와 상원사 등 유서 깊은 사찰과 문화재가 많이 있다. <삼국유사>에 자주 등장한다. 6. 단군신화에 나오는 단군의 어머니. 쑥 한 줌과 마늘 20개를 먹고 100일 동안 햇빛을 보지 않고 참아서 사람이 됐다.
7. 음식의 간을 맞추는 데 쓰는 검붉고 짠맛이 나는 액체. 신라 풍속에 호랑이에게 다친 사람들은 흥륜사의 ○○을 바르고 그 절의 나팔 소리를 들으면 나았다고 한다. 8. 임금에게 작별 인사를 올리는 일. 박제상은 왕에게 ○○하고 왜로 건너가 거짓으로 왜왕을 속여 왕자를 구한 뒤 자신은 참형을 당한다. “차라리 계림의 개 돼지가 될지언정 왜국의 신하는 되지 않겠다”라고 했다. 9. 임금의 재위 연대에 붙이는 칭호. “세자가 왕위를 이어받자 명황이 그를 책봉하여 왕위를 잇게 하니, 사사로이 ○○를 인안으로 고쳐 마침내 해동성국이 되었다.”(말갈과 발해 편) 11. 의젓하고 엄숙함. “여자가 지켜야 할 것은 두 남편을 섬기지 않는 것입니다. 설령 천자의 ○○이 있다 해도 남편이 있는데 다른 사람에게 가게 하지는 못할 것입니다.”(도화녀와 비형량 편) 13. 신라 때 전설의 피리. 이것을 불면 온갖 소원이 성취되므로 국보로 삼았다 한다. 15. 사람의 흉내를 잘 내는 새. 신라 흥덕왕 때 당나라 사신이 이 새 한 쌍을 가져왔는데, 암놈이 죽고 수놈이 홀로 남아 슬퍼하자 새 앞에 거울을 두었다. 거울 속의 모습을 보고는 제 짝을 얻은 줄 알았다가 제 그림자인 것을 알고는 더욱 슬피 울다 죽었다고 전해진다. 17. 다른 나라의 정치나 외교에 참견함으로써 그 주권을 속박·침해하는 일. <삼국유사>가 씌어질 당시 몽고의 ○○○○이 심했다. 19. 정확한 사실을 바탕으로 하여 편찬한 역사. <삼국사기>는 왕명에 의해 편찬된 ○○, <삼국유사>는 승려 개인이 쓴 야사 성격이 강하다. 20. 삼국통일을 주도한 신라의 장수. <삼국유사>에 매우 자주 등장하는 인물이다. 23. 경상남도 남동단에 있는 광역시. 우리나라 제2의 도시. <삼국유사>는 ○○유형문화재 31호로 지정돼 있다. [세로 열쇠] 2. 설화 속 인물로 일본으로 건너가 왕과 왕비가 된 두 사람을 함께 일컫는 말. 이 설화는 한국의 태양신에 관한 신화로서는 유일하다. 6. 우람하고 으리으리하다. “아이가 장성하자 몸과 모양이 ○○하고 기이했으며 뜻이 커서 남에게 얽매이지 않고 비범했다.”(후백제와 견훤 편) 7. 잘 간수하여 둠. <삼국유사> 발문에 의하면, <삼국유사>를 재간행할 때 여러 고을에 나누어 간행한 후 각 고을로 보내 ○○하게 했다고 한다. 8. 억울하고 딱한 사정을 털어놓고 말하거나 간곡히 호소함. 어느날 김유신의 무덤에서 그 자손이 억울한 죽임을 당했음을 ○○○하는 듯한 소리가 들려, 혜공왕이 사람을 보내 무덤 앞에서 사과를 했다.(미추왕과 죽엽군 편) 10. 따라다니면서 신변을 경호함. 진성여왕 때 활 잘쏘는 거타지가 사신 자격으로 당으로 갈 때 용 두 마리가 그 배 주위를 ○○했다고 한다.(진성여대왕과 거타지 편) 12. 어수선하여 질서나 통일성이 없다. <삼국유사> 후반부에 각 항목마다 거의 빠짐없이 시가 실려있는데, ○○하게 편찬된 체제에 통일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14. 털빛이 푸른 빛깔의 새. 흔히 상서로운 조짐을 나타내는 새로 통한다. ‘낙산의 두 성인 관음과 정취, 그리고 조신’ 편에 한 번 등장한다. 16. 고려 후기에 무신들이 정치를 행하던 일. <삼국유사>의 지은이는 최충헌이 집권한 ○○○○ 시대인 1206년 경상도 경산에서 태어났다. 18. 임금이 직접 통치할 수 없는 때에 임금을 대신해 정치함. “제24대 진흥왕은 즉위할 때 나이 15살이므로 태후가 ○○했다.”(진흥왕 편) 20. 고려시대의 문신,학자. <삼국사기>를 편찬했다. 21. 7세기에 최초로 한반도를 통일한 왕조. <삼국유사>는 지나칠 정도로 ○○의 사료를 많이 인용하여 ‘○○유사’라고 부르는 이도 있다. 22. 해열제나 강장제로도 쓰이는 나무 열매. 최근에 건강식품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도림사 대숲에서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라는 소리가 들려 대나무를 모두 베고 ○○○ 나무를 심었다.”(제48대 경문대왕 편) 24. 손위 누이의 남편. 자형. 노례왕이 ○○ 탈해에게 자리를 물려주려 하자 탈해는 치아가 많은 사람이 왕이 되어야 한다고 하여, 떡을 깨물어 잇금이 많은 노례왕이 먼저 즉위했다.(제3대 노례왕 편) 인터넷 국어논술 ‘일교시닷컴’ 이사
|
기사공유하기